연천 돼지침출수 유출 파문…파주, 취수 중단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매립용기·매립지 부족한데도
정부 독촉에 무리하게 살처분
사체 쌓아둬 침출수 하천 유출

주민 반대에 매립지 대란 우려


경기도 연천군 돼지살처분 현장 인근 하천에서 침출수를 제거하고 있다. [사진 제공 = 농식품부]
경기도 연천군에서 무리하게 추진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살처분이 결국 침출수 유출사태로 비화했다. '빨리빨리' 하라는 정부 방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가 매몰지 마련도 제대로 하지 못한 채 살처분을 강행한 탓에 돼지 수만 마리 사체가 쌓인 곳에서 핏물 등이 임진강으로 일부 흘러들어가는 사고가 난 것이다. 침출수는 인근 하천으로 유입돼 상수원 오염 등 2차 피해 우려까지 낳고 있다. 파주시에서는 12일부터 취수 중단에 나서 오염 우려는 주변 지자체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12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지난 10일 연천군 중면 민통선 내 ASF 매몰지(군 부대 유휴지) 인근에 쌓아둔 돼지 4만7000여 마리 사체에서 핏물 등이 새어 나와 인근 임진강 지류 마거천으로 유입됐다. 경기도와 연천군은 펌프 등 장비를 동원해 침출수를 걷어내긴 했지만 일부는 이미 지류를 타고 임진강으로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고가 난 매몰지는 임진강 본류와는 16㎞, 임진강 상류 상수원과는 직선거리로 8㎞가량 떨어져 있다. 연천군은 상수원 오염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시료를 채취해 수질 검사를 진행 중이다. 경기도와 연천군은 상수원과 거리가 멀고 이미 살처분 과정에서 돼지 사체를 소독 처리했기 때문에 인체에는 무해하다고 주장하지만 주민들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실제 파주시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12일 금파취수장의 취수를 중단해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파주시는 침출수 중 일부가 13일 임진강으로 유입될 것으로 파악하고 12일 오전 10시부터 파주 북부지역에 공급되는 수원을 팔당 광역 상수도로 대체해 공급에 들어갔다. 또 운정·교하·조리·금촌을 제외한 파주 북부지역 마을 방송과 아파트 방송 등을 통해 이 같은 조치 상황을 전파했다.

이번 침출수 유출은 지자체가 매립 용기를 확보하지 못한 채 농림축산식품부가 제시한 시한에 맞춰 무리하게 살처분을 진행한 게 근본적 원인으로 지목된다. 경기도와 연천군은 농식품부 방침에 따라 지난달 12일부터 연천 지역 돼지 19만마리에 대한 수매·도태 처리 작업을 진행했다. 도태 처리 대상인 16만마리는 렌더링(사체를 고온 멸균한 뒤 기름 성분을 재활용하고 잔존물을 퇴비·사료 등으로 활용) 처리하거나, 살처분한 뒤 플라스틱 재질의 매몰 용기(FRP)에 담아 매몰하는 방식이다. 연천군은 매몰지 확보가 힘들자 렌더링 위주로 작업하다가 농식품부의 독촉을 받고 급하게 살처분했다. 농식품부는 연천군에 10일까지 살처분을 완료해줄 것을 주문한 것으로 파악됐다.

문제는 사체 매몰 용기가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살처분이 진행됐다는 점이다. 연천군 관계자는 "용기 제작과 살처분이 동시에 진행됐다"면서 "용기 없이 매몰이 불가능한 탓에 사체를 매몰지 주변에 쌓아둘 수밖에 없었고 침출수 유출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농식품부 등 당국이 매몰지 확보를 위한 협조 요청에도 소극적이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매몰을 하지 못했더라도 바닥에 튼튼한 비닐을 깔고 가벽을 쳐서 침출수 유출을 임시로라도 막지 않고 돼지 사체를 쌓아뒀다는 것은 변명이 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시간에 쫓긴 살처분으로 사체 손상이 심해져 침출수 유출을 부추겼다는 지적도 나온다. 다른 지자체 방역담당 관계자는 "매몰 후 사체가 부패되면 침출수가 어느 정도 유출되기 마련"이라며 "살처분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하천까지 유입될 정도로 핏물이 흘러나왔다는 건 사체가 심하게 손상됐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석우 연천임진강시민네트워크 공동대표는 "살처분 작업 전반이 허술하게 진행되면서 빚어진 사태"라며 "무리한 살처분 과정에서 사체가 훼손되고 압력 등이 침출수 유출로 이어졌다"고 지적했다.

이번 사고로 예방적 살처분 정책의 한계가 드러나면서 재발 가능성 우려도 커지고 있다. 2010년 구제역 파동 당시 매몰지로 사용한 농가가 적지 않은 데다 매몰지 옆에서 생활한 주민들이 악취 등을 이유로 농장 내 매립을 반대해 매립지 확보가 갈수록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또 가축 감염병이 유행한다면 '매몰지 대란'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신속 처리에 주안점을 둔 현행 ASF 매뉴얼 자체가 허술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연천 = 지홍구 기자 / 이상헌 기자]

▶기사공유하고 코인적립하세요 'M코인'
▶네이버 메인에서 '매일경제'를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매콤달콤' 구독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