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거복철

前車覆轍

두산백과

비슷한 글3
보내기 폰트 크기 설정

요약 앞의 수레가 엎어진 바퀴자국이라는 뜻으로, 실패의 전례 또는 앞 사람의 실패를 거울삼아 경계하라는 것을 비유한 말.

前 : 앞 전
車 : 수레 거
覆 : 엎어질 복
轍 : 바퀴자국 철

앞 사람의 실패를 거울로 삼아 주의하라는 교훈성의 글이다. 전한(前漢) 말의 유향(劉向)이 편집한 《설원(說苑)》의 〈선설편(善說篇)〉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춘추전국시대 위(魏)나라의 문후(文侯)가 중신들과 함께 주연을 열었다. 취흥(醉興)이 도도해지자 문후는, “술을 마시기만 하면 재미가 없다. 어디 맛보지 아니하고 마시는 자는 벌주로 큰 잔의 술을 주기로 하자.”고 하였다. 모두 그 말에 찬성하였다. 그런데 말을 꺼낸 문후가 맨 먼저 그 규약을 어겼다. 주연을 주관하는 관리였던 공손불인(公孫不仁)이 큰 술잔을 문후에게 내밀었다. 문후는 슬쩍 보고는 받으려 하지 않았다. 한 신하가 불인에게, “불인, 그만하라. 임금께서는 지금 너무 취하셨다.”고 하였다. 그러자 불인이 말하였다. “속담에, ‘앞에 가던 수레의 뒤집어진 바퀴자국은 뒤에 가는 수레의 경계가 된다’고 하였습니다. 이는 전례(前例)를 거울삼아 주의하라는 교훈입니다. 신하나 임금되기가 모두 쉬운 일은 아닙니다. 지금 임금께서 법을 만들고, 그 법이 지켜지지 않는 전례를 만드시면 대체 어떻게 되겠습니까. 아무래도 이 잔을 받으셔야 하겠습니다.”

문후는 곧 수긍하고 깨끗이 그 잔을 받아 마셨다. 그 후 공손불인을 중히 여겨 오래 중용하였다고 한다. ‘전거복철 후차지계(前車覆轍 後車之戒)’로 쓰이며, 이와 유사한 말로는 답복철(踏覆轍), 답복거지철(踏覆車之轍), 전철(前轍) 등이 있다.

출처

출처 도움말
확장영역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