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당일배송 플랫폼 ‘디버’ 출시…“주부·학생도 퀵서비스 배송기사~”

입력
기사원문
김민규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LG유플러스는 사내벤처 ‘디버(dver)팀’이 크라우드 소싱 기반 당일배송 플랫폼 ‘디버’를 출시한다고 8일 밝혔다.  제공 | LG유플러스
[스포츠서울 김민규기자]운송수단을 보유한 개인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요금·수수료는 대폭 낮춘 ‘퀵서비스’가 등장해 눈길을 끈다.

LG유플러스는 사내벤처 ‘디버(dver)팀’이 크라우드 소싱 기반 당일배송 플랫폼 ‘디버’를 출시한다고 8일 밝혔다. 크라우드 소싱은 대중(crowd)과 아웃소싱(outsourcing)의 합성어로, 기업 활동의 일부 과정에 대중을 참여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디버는 승용차·오토바이 등 운송수단을 보유한 직장인, 주부, 대학생 등 누구나 디버의 ‘배송기사’로 등록해 원하는 시간에 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고객이 서비스를 신청하면 디버에서 거리·평점 등을 고려해 최적의 배송기사를 자동으로 배정해준다.

그동안 퀵서비스는 배송 물품에 따라 오토바이 또는 경상용차로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이에 물품의 부피가 오토바이로 운송하기 힘들 경우, 경상용차로 서비스를 제공하게 돼 같은 거리라도 요금이 비싸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실제로 LG유플러스가 퀵서비스 이용고객 192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 513명이 일정하지 않은 요금에 불만족을 나타냈다.

이러한 목소리에 주목, 디버는 개인이 보유한 자가 승용차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 경상용차와 비교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울 강서구 방화동에서 강동구 상일동으로 약 43km 배송 시 경상용차 요금은 4만원이고, 디버의 승용차 요금은 2만8000원으로 1만2000원 가량 저렴하다.

이와 함께 중개수수료 등을 낮춰 배송기사의 수입도 높였다. 기존 매출의 약 23%에 달하던 중개수수료를 10%로 낮추고, 플랫폼 이용료도 무료로 제공해, 디버 배송기사들의 수익성을 강화했다.

뿐만 아니라 기사 평가 시스템과 연계한 배송기사 배정방식도 눈에 띈다. 크라우드 소싱으로 누구나 배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지연·불친절·파손 등의 사유로 고객의 평가가 낮아지면 배송기사로 배정받지 못한다. 반면 좋은 평가를 받아 배송 횟수가 늘어날수록 우선 배정을 받는 것은 물론 추가 보상까지 지급한다.

웹을 통해 실시간 위치와 소요시간 등 배송정보와 정산내역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물품에 대한 소화물 보험이 자동 적용돼 운반 중 분실·파손 시 기사의 부담도 최소화할 예정이다. 디버는 우선 서울·경기 일부 지역에서만 서비스를 제공한다. 올 연말까지 시범서비스를 제공, 내년부터 서비스지역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시범서비스 기간 동안 배송기사는 수수료 0원의 혜택도 누릴 수 있다.

장승래 LG유플러스 사내벤처팀 디버 대표는 “국내 퀵서비스 시장 규모는 연 매출 3조원에 달하고, 최근 이커머스 시장의 당일배송 경쟁 또한 치열하다”며 “디버는 이처럼 시장규모가 커지고 있는 퀵·당일배송 서비스 시장을 크라우드 소싱 배송 플랫폼으로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kmg@sportsseoul.com


스포츠서울 공식 페이스북

팟캐스트 '스포츠서울 야구 X파일'

스포츠서울 공식 유튜브 채널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