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개헌안에 공무원 노동3권 인정…검사 영장청구권 삭제

입력
수정2018.03.20. 오전 11:16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대통령 개헌안 첫 발표(서울=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청와대 조국 민정수석(가운데)이 20일 오전 춘추관 대브리핑실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발의할 개헌안 중 전문과 기본권 부분의 내용과 조문 배경 등을 설명하고 있다. 왼쪽은 진성준 정무기획비서관, 오른쪽은 김형연 법무 비서관. 2018.3.20
scoop@yna.co.kr


기본권 주체 '국민→사람'…국민경제·안보 관련 주체는 '국민'

'근로' 용어 '노동'으로, '동일가치 노동, 동일수준 임금' 명시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발의할 대통령 개헌안은 '근로' 용어를 '노동'으로 수정하고, '동일가치 노동, 동일수준 임금'이 명시됐다.

공무원에게 노동 3권을 인정했고, 다만 군인 등 일부는 이를 제한했다.

천부인권적 성격의 기본권 주체를 '국민'에서 '사람'으로 확대하고, 다만 직업의 자유와 재산권 보장 등 사회권적 성격이 강한 권리와 자유권 중 국민경제 및 국가안보와 관련된 권리에 대해서는 그 주체를 '국민'으로 한정했다.

특히 대통령 개정안은 검사의 영장청구권 규정을 삭제했다.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은 20일 브리핑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대통령 개헌안의 기본권에 대한 사항을 발표했다.

honeybee@yna.co.kr

▶연합뉴스 채널 구독 500분께 스타벅스 커피 쏩니다

▶기사제보 및 문의  ▶내 생활에 흥이나는 최신 트렌드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