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닝아웃

Meaning Out

두산백과

보내기 폰트 크기 설정

요약 소비 행위 등을 통하여 개인의 신념이나 가치관을 표출하는 것.

자신의 정치적·사회적 신념이나 가치관, 취향, 성향, 주장 등을 밖으로 드러내는 행위를 말한다. 성정체성을 드러내는 행동을 의미하는 '커밍아웃(coming out)'에 빗대어 만든 신조어이다.

미닝아웃의 대표적 수단 중 하나는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다. 특히 SNS의 해시태그는 즉각적이고 간편하게 미닝아웃을 할 수 있는 도구로, 자신이 가치 있게 생각하는 입장이나 주장에 지지와 공감을 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다른 이들과 공유할 수 있게 해준다. 해시태그를 통한 미닝아웃의 주제는 보편적 신념부터 개인적 신념이나 취향, 사회적 이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데, 예를 들면 불공정 기업의 상품 불매, 인종차별 및 성차별 반대, 사건·사고 규탄 및 희생자 추모, 환경보호 및 동물복지 지지, 투표와 기부 독려, 역사왜곡 문화 콘텐츠 거부 등과 같은 주제가 있다.

또 하나의 수단은 패션을 이용하는 것이다. 주로 옷이나 모자, 가방 등에 정치적·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슬로건이나 상징을 넣음으로써 미닝아웃을 한다. '우리는 모두 인간이다'라는 문구를 새긴 티셔츠, 원전사고 지역 이름을 넣은 가방,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상징하는 꽃 무늬를 넣은 패션 제품 등이 그 예이다.

미닝아웃은 다양한 상황에서 행해지는데, 특히 소비 행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비싸고 기능과 품질이 다소 떨어지더라도 자신의 가치관에 부합하는 제품을 지향하고 구매함으로써, 소비 행위를 신념 표출의 수단으로 삼는 것이다. 기업의 윤리나 사회적 책임 등을 고려하면서 친환경, 동물복지, 공정무역 등을 실천하는지를 따져 착한 소비, 가치 소비를 하고자 하고, 비윤리적이거나 불공정한 기업의 제품은 보이콧하는 행동을 보여주기도 한다.

미닝아웃은 개인의 의견과 취향을 적극 드러내는 특징이 있고 디지털 미디어에 익숙한 MZ세대(1980년대 초반~2000년대 초반 출생 밀레니얼 세대와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 Z세대)를 중심으로 확산되었다. 때로는 고도로 정치화·조직화되며 진지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때로는 일상적이고 유희적 방식으로 표출되기도 한다. 즉, 어떤 이들에게는 사회운동이고 어떤 이들에게는 놀이로 여겨지는 것이다.

출처

출처 도움말
확장영역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