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자 수습 끝난 광주붕괴 현장…'원인규명' 진실게임 남았다

입력
수정2022.02.11. 오전 6:07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국토부 3월까지 원인 발표…콘크리트 강도 등 조사
지자체는 구조물 제거, 안전진단 집중…"수개월 넘게 소요"
8일 광주 서구 화정동 현대산업개발 아이파크 아파트 신축 공사 붕괴사고 현장에 낙석방지망이 설치돼 있다. (소방청 제공) 2022.2.8/뉴스1

(서울=뉴스1) 박종홍 기자,금준혁 기자 = 광주 서구 아파트 붕괴사고 발생 한 달여 만에 실종자 수색 작업이 마무리되면서 사고 원인 규명과 안전 진단 조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전망이다.

다만 한 달 뒤로 예정된 사고 원인 조사 결과 발표와는 다르게 안전 진단과 그에 따른 철거 범위 결정까지는 적어도 수개월의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8일 실종자 6명 수습 완료…"안전진단 등 후속조치 진행"

11일 정부와 업계 등에 따르면 중앙사고수습본부는 8일 오후 7시 37분쯤 26층에 매몰된 6번째 실종자에 대한 수색 작업을 마쳤다. 지난 1월 11일 화정동 아이파크 신축현장에서 외벽이 붕괴한 이후 한 달여 만에 실종자 6명에 대한 수습을 완료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수습된 매몰자는 26층에서 발견됐으며 앞서 1~5번째 매몰자는 지하 1층이나 27~28층에서 각 수습됐다. 숨진 채 발견된 6명의 사인은 모두 '다발성 장기손상'으로 조사됐으며 마지막 수습자는 질식도 사인으로 추가됐다.

실종사 수색이 완료되면서 향후 사고 원인 조사 등 후속 조치가 시작될 전망이다. 그간 국토교통부나 국토안전관리원, 각 지자체 등 사고수습의 당국 활동은 실종자 구조에 집중돼 있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실종자 구조 작업이 마무리됨에 따라 사고 아파트 안전진단 등 후속 조치를 속도감 있게 본격 진행하겠다"고 전한 바 있다. 입주 예정자, 전문가 등과 협의해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고 결과에 따라 철거나 공사재개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9일 오후 광주 서구 화정동 현대산업개발 아이파크 아파트 신축 공사 붕괴사고 현장에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광주경찰청 과학수사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등이 합동감식을 위해 사고 현장으로 향하고 있다. 2022.2.9/뉴스1 © News1 황희규 기자

◇국토부는 '사고 원인 규명', 지자체는 '철거 범위 결정'

후속 조치는 국토부 건설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의 원인 규명과 지자체를 중심으로 한 안전 진단 등 크게 '투트랙'으로 진행될 것으로 파악된다. 사조위 조사 결과는 후속 방지책 마련 및 수사 등에 활용되며, 정밀안전진단 결과는 철거 범위 결정 등에 사용된다.

국토부 사조위는 201동 23층에서 38층 사이에서 콘크리트 시료 30여 개를 채취했다. 그간 붕괴 사고의 원인으로 지목됐던 짧은 콘크리트 양생기간에 대해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사조위는 콘크리트 벽에 드릴로 구멍을 뚫어 원형 시험체를 채취해 압축 강도와 파괴 하중을 측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콘크리트 강도의 적정 여부를 밝힐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장 시료 채취나 관련 서류 검토, 관계자 청문 등 사고 원인 조사 과정은 계속 진행해 왔고 실종자 수습으로 활동에 변화가 있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실종자 수습이 완료된 만큼 현장 조사가 원활히 진행될 환경이 조성된 것은 맞다"고 설명했다.

사조위는 활동이 끝나는 3월 12일까지 조사를 마치고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또 다른 국토부 관계자는 "사조위가 사고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재발방지대책을 제안할 수 있다"며 "조사 보고서는 공개되는 만큼 향후 수사나 재판 과정에서도 활용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현장 감독기관인 광주시나 서구청 등 지자체를 중심으로는 위험 구조물 수습과 정밀안전진단 활동이 진행될 예정이다. 국토부와 국토안전관리원은 기술 지원을 맡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구조작업할 때 임시로 고정했던 201동 남측 벽체나 동측 기둥, 타워크레인, 잔해물들을 처리하고 붕괴 가능성을 조사하게 된다. 해당 활동이 완료되면 외벽이 무너진 201동만 철거할 것인지, 단지 전체를 새로 지을지 등 철거 범위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다만 철거 범위가 결정되기까지는 시간이 다소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복수의 국토부 관계자는 "타워크레인을 새로 설치하고 벽을 잘라내는 등의 위험물 해체 과정도 수개월 소요될 것으로 판단된다"며 "정밀안전진단도 위험물 해체 이후 진행한다면 추가적인 기간이 필요할 것"이라는 취지로 설명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