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택배물량 급증에 ‘신입기사엔 60∼70%만 배정’ 권고

입력
수정2020.04.12. 오후 12:13
기사원문
장덕수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정부가 최근 코로나19 여파로 업무량이 급증한 택배업계 종사자 보호를 위해 신규 택배 기사에게는 평균 배송 물량의 60∼70%만 배정하고 택배 차량과 기사를 신속히 충원할 것을 업계에 권고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0일 택배업계 간담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설명하고 소속 대리점 등 영업소를 통해 적극 준수할 것을 요청했다고 오늘(12일) 밝혔습니다.

국토부의 이번 권고는 최근 온라인 쇼핑몰 '쿠팡' 소속 배송 노동자가 새벽 근무 중 사망한 사고가 발생하는 등 코로나19로 온라인 쇼핑이 늘어나면서 택배 물동량이 급증해 어려움을 겪는 택배 기사를 보호하고자 마련됐습니다.

쿠팡에 따르면 작년 연말 200만 건이었던 하루 배송 건수는 코로나19 이후 300만 건으로 늘었습니다.

국토부의 권고 사항에는 택배회사 영업소(대리점)에서 물량 증가 지속시 신속히 택배 차량과 기사를 충원, 물동량을 분배해 배송하고, 차량·종사자 충원이 어려운 경우 택배 차량에 동승해 물품을 운반할 보조 인력을 충원해 배송 업무를 지원하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특히 적정 근무량 체계를 마련해 신규 택배 종사자의 일일 배송물량은 숙련된 택배기사 평균 배송량의 60∼70% 한도 내로 배정하는 등 택배 종사자의 물량·구역 배정시 건강 상태와 근무 기간, 업무 숙련도 등을 고려하도록 했습니다.

아울러 4시간 근무시 30분 휴식하도록 한 근로기준법 등을 참고해 택배 종사자에게 일일 휴게시간을 보장하도록 하고 일일 물량이 많을 경우 맡은 물량을 한 번에 배송하지 말고 오전·오후 등 수차례 물량을 나눠 배송해 휴식 시간을 확보하는 내용도 권고사항에 포함됐습니다.

영업소의 택배 차량·기사의 충원이 여의치 않아 택배 기사의 피로도가 매우 증가한 경우에는 고객과의 협의·양해를 통해 평소 배송기일보다 1∼2일 지연해 배송하는 방안도 권고했습니다.

영업소별로 건강관리자를 정해 업무 시작 전 택배 종사자에 대한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업무구역이 인접한 택배 종사자로 팀(4∼5명)을 구성해 팀원의 연락 두절 등 위급상황 발생시 대응 체계를 구축하도록 했습니다.

이밖에 산재보험 가입 독려, 응급·방역물품 구비, 비대면 배송 유도 등의 권고 사항도 담겼습니다.

국토부는 향후 이번 권고 사항이 잘 지켜지는지 현장 실태 확인을 한 뒤 이를 매년 실시하는 택배 운송사업자의 택배 서비스 평가에 반영할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장덕수 기자 (joannes@kbs.co.kr)

▶ ‘코로나19 팩트체크’ 제대로 알아야 이긴다

▶ 우리 동네 무슨 일이? KBS지역뉴스

▶ 더 빠르고 정확한 소식을 원하시면 KBS뉴스 구독!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