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 김현미 장관 “강남이 좋습니까?”

입력
수정2019.11.21. 오전 4:41
기사원문
김창성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서울 강남 일대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DB
지난 5월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의 “강남이 좋습니까?” 발언 이후 강남 아파트값이 더 뛴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부동산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제만랩에 따르면 KB부동산의 주택가격현황을 분석한 결과 김 장관의 발언 당시 강남구의 3.3㎡당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은 5802만2000원이었지만 지난 10월에는 6324만1000원으로 올라 8.99%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서울 아파트 평균매매가격 상승률(4.98%)보다 80%나 높은 수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당시 김 장관은 3기 신도시를 발표하며 “국민들이 어느 지역에 살고 싶다 할 때는 원하는 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수도권뿐만 아니라 어디에 살더라도 주거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지향과 가치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실은 달랐다. 김 장관의 “강남이 좋냐”는 발언 이후 강남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는 갈수록 더 높아졌고 강남구 아파트 가격 상승률 역시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뿐만 아니라 강남과 강북의 아파트 평균매매가격도 더 벌어졌다. 지난 5월에만 하더라도 강남과 강북의 3.3㎡당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은 각각 3594만원, 2510만9000원으로 격차가 1083만1000원이었지만 강남 아파트 가격이 치솟으면서 강남·강북의 3.3㎡당 평균매매가격 격차는 1195만8000원으로 더 벌어졌다.

오대열 경제만랩 리서치팀장은 “정부가 강남 아파트 가격을 잡기 위해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라는 강수를 내놨지만 강남은 여전히 오름세를 보이는 데다 매수심리만 자극 된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김창성 기자 solrali@mt.co.kr

▶ 영상으로 보는 고수들의 재테크 비법 ▶ 박학다식 '이건희칼럼'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