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 "23일 성과연봉제 저지 총파업 돌입"(종합)

입력
수정2016.09.20. 오후 1:35
기사원문
송광호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금융노조 총파업 관련 기자회견 (서울=연합뉴스) 이상학 기자 = 김문호 금융노조위원장이 20일 오전 서울 중구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에서 총파업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금융노조는 23일 총파업에 돌입한다.

사측과 협상 결과에 따라 2차, 3차 추가 파업 결정

은행들 '컨틴전시 플랜' 마련…고객 불편 최소화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 금융노조는 오는 23일 서울 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리는 총파업에 10만 명이 결집, 은행업무가 사실상 마비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금융노조는 20일 서울 중구 노조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총파업에 노조원 대부분이 참여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문호 금융노조 위원장은 "사측이나 정부가 생각하는 것보다 노조원들이 파업에 대한 열의가 크다"며 "정부나 사측은 3만∼4만 명 정도를 예상하지만, 조합원 대부분이 이번 파업에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긴장감 감도는 총파업 기자회견 (서울=연합뉴스) 이상학 기자 = 20일 오전 서울 중구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에서 열린 금융노조 총파업 관련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대화를 하고 있다. 금융노조는 23일 총파업에 돌입한다.

금융노조는 2000년 7월과 2014년 9월 관치금융 반대를 기치로 내걸고 두 차례 파업을 진행한 바 있다. 파업 참여율은 높지 않았다. 특히 2014년 파업 때는 참가율이 10% 수준에 불과했다.

그러나 2014년 파업이 금융공기업 정상화, 낙하산 인사문제 등을 주요 화두로 내건 반면, 이번에는 시중 은행원들의 생계문제인 월급 체계와 직접 연관됐다는 점에서 파업 동력에서 차이가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김 위원장은 "예전에 비정규직이었던 분들이 전부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되면서 노조원이 됐다. 파업의 강도는 예전보다 훨씬 강할 것이며 세계 노동운동 사상 단일노조가 세운 파업 기록 중 최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관치금융과 성과연봉제를 막기 위해서는 2차, 3차 파업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금융노조가 이처럼 총파업에 나서는 이유는 성과연봉제 조기 도입과 저성과자 해고, 관치금융 등에 반대하기 때문이다.

특히 성과연봉제가 이른바 '쉬운 해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노조는 우려하고 있다.

구호 외치는 금융노조 지도부 (서울=연합뉴스) 이상학 기자 = 20일 오전 서울 중구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에서 열린 금융노조 총파업 관련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금융노조는 23일 총파업에 돌입한다.

성과연봉제 등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정부가 금융권 노사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등 여전한 관치로 금융경쟁력을 저해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금융노조는 "정부가 노사관계에 불법 개입해 지난 수십 년간 이어져 온 정상적인 산별 노사관계를 하루아침에 파탄 냈기 때문에 총파업에 나선다"며 "정부의 개입은 금융산업의 안정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추진 중인 성과연봉제는 단기실적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마약이라며 지금은 단기 실적주의에서 벗어나 조직의 미래를 책임질 장기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공공·금융부문 총파업 때 무노동·무임금 원칙을 확실히 적용하겠다는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의 발언에 대해서는 "정부가 제 할 일부터 해야한다"고 쓴소리를 했다.

김 위원장은 "고용노동부는 파업이 일어나지 않도록 모든 노력을 해야 하는 정부기관임에도 금융노조 파업을 포함한 노동계의 총파업이 현실화하고 있지만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았다. 정부라면 국민의 소리를 들어야 하고 노동자도 국민이다. 이 장관의 발언은 대꾸할 가치도 없다"고 일축했다.

은행들은 총파업에 대비해 비상체제를 가동하며 고객들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KB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농협은행, KEB하나은행 등은 각각 '컨틴전시 플랜'을 마련, 파업 때 생길지 모를 고객 불편에 대응할 예정이다.

buff27@yna.co.kr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