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가습기살균제 피해 146명만 인정…4만명 피해 호소

입력
기사원문
김대기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포항CBS 김대기 기자]

환경단체 등이 7일 이마트 포항점에서 경북 가습기살균제 피해보고 및 책임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대기 기자
오는 8월 가습기살균제 참사 10주기를 맞는 가운데 경북에서도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들의 고통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북에서는 4만9천여명이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건강피해를 경험했지만 피해 구제 인정자는 140여명에 그친 것으로 드러나 피해자들에 대한 지원대책이 요구된다.

경북 포항 북구주민 이정화(59)씨. 이씨는 지난 2010년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했다가 점점 몸에 이상이 오기 시작했다.

2011년에 후두염도 발생했고, 이후 폐가 망가져 만성기침 천식으로 일상 생활에 어려울을 호소하고 있다.

이정화씨는 "가만히 있어도 가슴이 답답하다. 밤이면 그러그렁해 가족과 떨어져 잠을 잔지 오래이다"면서 "몸에 좋으라고 쓴 제품 때문에 불치병 앓게 됐다. 너무 힘이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씨는 지금도 피해구제자로 등록되지 못해 병원비 부담까지 2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이씨는 10년 전 사용한 제품 때문에 이런일이 발생했다고 생각지도 못하다가 지난 2019년에야 피해자 서류를 접수했다.

이정화씨는 "그 제품 때문에 이렇게 됐다는 걸 생각지도 못했고, 이 제품을 사용했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면서 "하지만 가습기 살균제 때문이 아니라면 몸이 이렇게 되지 않았지 않겠냐"고 호소했다.

환경단체 등이 7일 이마트 포항점에서 경북 가습기살균제 피해보고 및 책임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대기 기자
이와관련해 경북지역 환경단체들은 7일 이마트 포항점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가습기 살균제 피해조사를 발표했다.

2020년 기준으로 경북지역의 가습기 살균제 사용자 피해 신고자는 278명이고 피해 인정자는 146명에 그치고 있다.

하지만, 경북지역 가습기살균제 사용자는 46만 1946명에 이르고, 이중에 건강피해 경험자는 4만9206명이다. 4만 651명은 병원치료까지 받아야 했다.

이런데도 한정애 환경부 장관이 사건이 불거진지 10년이 지나 진상규명이 끝났다고 발언하면서 피해자와 가족들이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환경보건시민센터 최예용 소장은 "피해자와 가족들을 위로하고 평생 환자를 케어해야 한다. 그런조치가 이러져야 진상규명이 다 됐다고 할수 있다"면서 "빙산의 일각 조치를 두고 진상규명이 끝났다고 하는 환경부 장관은 무엇이냐"고 말했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도 취임초기 피해자를 청와대로 초청해 제대로 해결하겠다고 했다"면서 "하지만 이후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이러니 환경부 장관이 이런말을 할 것 아니냐"고 소리를 높였다.

피해자들의 고통을 보듬기 위한 정부와 43개 제조유통기업의 제대로 된 사과와 배·보상이 절실해 보인다.

▶ 확 달라진 노컷뉴스

▶ 클릭 한 번이면 노컷뉴스 구독!

▶ 보다 나은 세상, 노컷브이와 함께

kdk@cbs.co.kr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