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보화진흥원은 전날 오후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공적 마스크 데이터’를 open API 형식으로 제공해 개발사들이 관련 앱을 개발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포털사이트 네이버, 카카오를 비롯해 공공 마스크(00mask), 굿닥 마스크스캐너, 마스크맵, 마스크 알리미(mask-nearby) 등 10여 곳이 각 약국의 공적 마스크 재고 현황을 알려주는 모바일·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가운데 공공 마스크는 이날 오후 “접속량이 폭주해 데이터 변경이 원활하지 않는다. 양해 부탁드린다”며 “마스크 정보는 5분(최대 10분) 단위로 갱신된다”는 공지사항을 띄웠다.
마스크 수량은 100개 이상인 약국은 초록색으로, 30~99개는 노란색, 2~29개는 빨간색, 0~1개는 회색으로 표시하고 있다.
직장인 다수의 퇴근 시간인 오후 7시 현재 대부분 지역 약국이 ‘회색’을 띈다.
이 가운데 아직도 노란색을 보이는 곳이 있어 눈길을 끈다. 대부분 1층이 아닌 2~3층이나 지하에 있거나 시내나 주택가가 아닌 외진 곳에 있는 약국이다.
|
공공 마스크도 공적 마스크 재고 현황을 안내하며 “공공 마스크 제공을 위해 고생하시는 약사님들에게 격려와 응원의 말씀을 전해주세요”라고 당부했다.
굿닥 마스크스캐너도 공지사항을 통해 “현재 실제 수치와 표시 재고 수량이 맞지 않는다”며 “참고용으로 확인해주시고 일선에서 수고해주시는 약사분들께 항의하지 말아주시기 바랍니다”라고 전했다.
한편, 굿닥 마스크스캐너는 확진자 동선과 신천지 시설을 함께 안내하고 있어 호응을 얻고 있다.
정부는 10일부터 2만3000개 약국 판매 데이터를 사업자들에게 공개한 데 이어 11일 1400개 우체국의 실시간 마스크 재고를 취합해 제공한다. 농협 하나로마트의 마스크 판매 재고를 공개하는 방안도 협의하고 있다.
현재 공적 마스크 재고 현황 데이터 제공은 오는 15일까지 베타 서비스로 운영한 뒤 안정화 작업을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박지혜 (noname@edaily.co.kr)
네이버 홈에서 ‘이데일리’ 구독하기▶
청춘뉘우스~ 스냅타임▶ | 이데일리 기자뉴스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