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

定宗

두산백과

비슷한 글3
보내기 폰트 크기 설정

요약 조선 제2대 왕(재위 1398~1400). 제1차 왕자의 난이 수습된 뒤 왕위에 올랐으며, 재임 2년 후 보위를 이방원에게 양위하였고 상왕으로 물러났다.

정종태실
출생-사망 1357 ~ 1419
재위기간 1398년 ~ 1400년
가족관계 왕비 정안왕후(定安王后), 아버지 태조(太祖), 어머니 신의왕후(神懿王后)

출생과 세자 책봉

자 광원(光遠), 휘(諱) 경(曔), 초명 방과(芳果)이다. 태조의 둘째 아들로 출생했다. 비(妃)는 김천서(金天瑞)의 딸 정안왕후(定安王后)이다. 성품이 인자하고 용기와 지략이 뛰어나, 고려 때 아버지를 따라 북방의 전투에 참가하며 많은 전공을 세웠다. 조선 개국 뒤 영안군(永安君)에 책봉되었다. 방과는 권력을 지향하는 기질은 아니었기에 태조 이후 왕자의 난으로 발생한 풍파를 겪지 않았다. 1398년(태조 7) 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난 결과로 세자로 책봉되었다. 

조선 제2대 왕으로 등극

이후 태조의 양위를 받아 왕위에 올랐지만, 정치적 실권을 행사할 처지는 아니었다. 신도(新都) 한양(漢陽)에서 일어난 형제간의 골육상쟁, 즉 제1차 왕자의 난으로 권력투쟁의 장(場)이된 한양을 떠나 구도(舊都)인 개경(開京)으로 돌아갔다. 1400년 제2차 왕자의 난이 수습된 뒤 실세인 동생 정안군(靖安君, 이방원)을 왕세제로 삼을 수 밖에 없었고 이방원의 뜻에 따라 왕족 ·권신(權臣) 등이 기르던 사병(私兵)제를 폐지하여 삼군부(三軍府)에 편입시키면서 지방 세력들의 권력을 약화시키며 왕권을 강화하였다. 하륜(河崙)의 건의에 따라 관제를 개혁하고, 한양의 5부에 각각 학당(學堂)을 설립하였다. 

실권이 없는 왕

정종의 정치적 판단과 결정은 거의 동생 이방원의 뜻에 따라서 이루어졌다. 정종은 재위 기간동안에 정무보다는 격구 등 오락에 심취하였으며 그의 이런 행동은 이방원을 안심케하는 효과가 있었다. 즉위한 지 2년 만에 방원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上王)으로 추대되었는데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서 어쩔 수 없는 조치였다. 왕위에서 물러난 뒤 인덕궁에 거주하면서 사냥과 격구, 연회, 온천여행 등으로 세월을 보내다 1419년 63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정종은 사망 후 묘호도 없이 공정대왕으로 불리다가 1681년(숙종 7년) 정종이라는 묘호를 받았다. 능은 개풍군의 후릉(厚陵)이다.

 

출처

출처 도움말
확장영역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