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만 원권 환수율 급감‥그 많던 현금은 어디로 갔나?

입력
수정2021.10.25. 오후 8:31
기사원문
이유경 기자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뉴스데스크]
◀ 앵커 ▶

시중에 현금은 엄청나게 풀렸지만 한국은행으로 돌아오는 비율은 뚝 떨어졌는데 특히 5만 원권 지폐가 심하다고 합니다.

누군가 어딘가에 현금을 쟁여 놓고 있다는 추정이 가능한데요.

그래서인지 금고 판매량이 1년 사이 두 배 늘었습니다.

보도에 이유경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올해 들어 8월까지 발행된 5만 원 짜리 지폐는 2억9천4백만 장.

금액으로는 14조7천억 원입니다.

그런데 이 중에 다시 한국은행으로 돌아온 건 19.1%.

다섯 장 가운데 한 장뿐입니다.

5만원 권들이 어딘가로 숨어버린 겁니다.

이런 현상은 작년부터 심해졌습니다.

2019년만 해도 환수율은 60%였습니다.

그런데 작년에 24%로 뚝 떨어지더니, 올해 19%로 더 떨어진 겁니다.

이렇게 갑자기 현금 회수율이 떨어진 건, 코로나 영향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온라인 비대면 거래가 크게 늘면서, 현금 유통량 자체가 좀 줄었습니다.

특히 현금을 가장 많이 받는 식당과 숙박업 매출이 줄면서, 은행 입금이 줄어든 것으로 보입니다.

[엄연걸/식당 운영]
"월 평균 (현금) 매출이 한 300정도 됐는데 코로나 이후는 많이 줄어가지고 한 4-50만원 정도? 그냥 현금은 다 가지고 있었어요. 저축 안 하고."

또 코로나로 금리가 크게 내리면서, 굳이 현금을 은행에 넣어둘 필요성이 줄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이게 다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지난해 금고가 불티나게 팔렸습니다.

금고 제조업체들의 매출은 2019년에 비해 2020년 두 배나 늘었습니다.

백화점에서 파는 비싼 금고들도 잘 팔렸습니다.

올해 백화점별 금고 매출은 현대백화점 30%, 롯데백화점 18.9%, 신세계백화점은 42.5% 올랐습니다.

금 거래대금도 크게 늘어나 1년 전보다 3배나 늘어났습니다.

당국이 파악하지 못하는 현금이나 금이 크게 늘어났을 가능성도 있다는 뜻입니다.

[정일영/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그러면 그냥 개인 금고에 넣어 놓고 있는 거예요?"

[이주열/한국은행 총재]
"그 전보다는 아마 개인이 갖고 있는 경우는 좀 그런 경향이 많아진 것은…"

실제로 코로나 이후 고액권 환수율은 다른 나라들도 조금씩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한국만큼 급격하게 떨어진 나라는 없습니다.

MBC뉴스 이유경입니다.

영상취재 : 최인규 / 영상편집 : 김재환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