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효과 제조업 두 배' 서비스업 혁신에 발동

입력
수정2018.06.10. 오전 5:52
기사원문
차유정 기자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는 최근 '혁신성장'에 본격 시동을 걸고 의료, 유통 등 서비스업 분야 현장 점검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고부가 가치 서비스업은 일자리 창출 효과가 제조업의 2배가 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차유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혁신성장에 분발해달라는 대통령 주문 이후, 김동연 부총리가 가장 먼저 점검에 나선 분야는 디지털 헬스케어.

모바일 진단기기와 원격 의료 시스템을 둘러본 김 부총리는 보건의료분야 혁신을 강조했습니다.

이어 쇼핑몰을 찾아 자율주행 카트를 밀며 유통분야 혁신성장도 점검했습니다.

의료, 유통, 관광 등 서비스업이 부쩍 주목받는 건 일자리 때문입니다.

[김동연 /경제 부총리 : 고급 서비스 분야에서의 경쟁력 확보와 발전이야말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중요…]

기존의 수출기반 제조업은 일자리 창출에 한계를 드러낸 지 오랩니다.

주로 대규모 장비에 의존하는 반도체는 더는 일자리를 만들어내지 못하고 자동차·조선업은 3년 전부터 구조조정에 들어간 상태입니다.

그런데 서비스업은 고용 효과가 제조업의 두 배가 넘습니다.

한국은행 분석을 보면 재화나 서비스를 10억 원어치를 생산했을 때, 제조업은 일자리를 7개를 만들어내지만 서비스업은 두 배가 넘습니다.

[정대희 / KDI 거시경제연구부 연구위원 : 제조업과 서비스업 균형성장과 서비스업 경쟁력 강화 정책 논의를 본격화해야 국내 서비스 경기 개선과 고용 확대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봅니다.]

특히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은 단순노동 위주의 저임금 일자리가 아닌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냅니다.

최근 김동연 부총리는 신산업 육성을 통해 5년 안에 30만 개 일자리를 만들어내겠다고 했습니다.

정부의 혁신성장 투자가 실제 일자리 창출로 연결되려면, 중소 벤처기업 활성화와 함께 규제 혁신을 통한 고부가가치 서비스업 육성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과거 정부에서도 규제 완화를 외쳤지만, 관료주의와 기득권의 저항에 부닥쳐 번번이 실패했기 때문에 이번에는 추진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차유정입니다.

▶동영상 뉴스 모아보기
▶오늘 나의 운세는?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