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슷한 글21
보내기 폰트 크기 설정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은 봉덕사(奉德寺)종으로도 불리우며, 높이가 3.6m에 달하는 우리나라 범종 가운데 크기나 양식 면에서 볼 때 가장 뛰어난 작품이다. 명문에 의하면 경덕왕(景德王)이 부왕 성덕왕(聖德王)의 명복을 빌기 위해 제작하려고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그 다음 대인 혜공왕(惠恭王) 7년(771년)에 이르러서야 완성되었으며, 이 종을 제작하는 데 구리 12만 근이 소요되었다고 한다. 특히 이 종은 어린아이를 집어넣어 만들었다는 전설과 함께 종소리가 어머니를 부르는 듯하다고 하여 '에밀레종'이란 이름으로 우리에게 더욱 친숙하다.

성덕대왕신종
통일신라 771년, 높이 366㎝, 국보,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종의 세부 형태를 살펴보면, 용뉴는 한 마리의 용이 목을 구부려 천판에 입을 붙이고 있으며 목 뒤로 굵은 음통이 부착되어 있다. 대나무 가지처럼 마디가 새겨진 음통에는 위로부터 앙복련(仰覆蓮)의 연판무늬 띠와 그 아래에 꽃무늬가 장식된 띠를 둘러 3단을 순서대로 배치하고, 제일 하단에는 위로 향한 앙련이 새겨져 있는데, 각 연판 안에는 돌기된 꽃무늬 주위로 유려한 잎이 장식되었다. 특히 음통 주위를 작은 연꽃으로 두르고 다시 천판의 가장자리를 돌아가며 연판무늬로 장식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범종이 잘 보이지 않는 천판 부분에까지 얼마나 세심한 정성을 기울여 제작하였는지를 짐작케 한다. 상대에는 아래 단에만 연주무늬가 장식되었고 대 안으로 넓은 잎의 모란당초(牡丹唐草)무늬를 매우 유려하게 부조하였다. 상대에 붙은 연곽대에도 역시 동일한 모란당초무늬를 새겼다.

성덕대왕신종 용뉴와 천판

한편 연곽 안에 표현된 연꽃봉오리는 상원사종과 달리 돌출된 형태가 아니라 연밥이 장식된 둥근 자방(子房) 밖으로 두 겹으로 된 8엽 연판이 새겨진 납짝한 연꽃으로 표현되어 매우 독특하다. 이러한 형태는 나중에 운주지(雲樹寺) 소장 종이나 조구진자(常宮神社) 소장 종과 같은 8∼9세기 통일신라 범종에까지 계승되는 일종의 변형 양식이다. 성덕대왕신종은 이뿐만 아니라 주악천인상과 종구(鐘口)의 모습 등이 다른 종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몇 가지 독특한 양식을 갖추고 있다. 즉 종신에는 악기를 연주하는 일반적인 주악천인상과 달리 손잡이 달린 향로[병향로(柄香爐)]를 받쳐든 모습의 공양자상(供養者像)이 앞뒤 면에 조각되었는데, 이는 종의 명문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성덕대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제작된 것인 만큼 성덕대왕의 왕생극락(往生極樂)을 간절히 염원하는 모습을 담았다고 볼 수 있다. 연화좌(蓮花座) 위에 몸을 옆으로 돌린 공양상의 주위로는 모란당초무늬가 피어오르고 머리 뒤로 천의를 흩날리고 있다.

성덕대왕신종 공양자상
탁본. 성덕대왕신종 공양자상

종구 부분 역시 여덟 번의 굴곡을 이루도록 변화를 준 점이 독특하다. 이에 따라 그 위에 장식되는 하대 부분도 8릉의 굴곡이 생기고, 굴곡을 이루는 골마다 당좌 같은 원형의 연꽃무늬를 여덟 군데에 새겼으며 그 사이를 당초무늬로 연결시켜 한층 화려하게 꾸미고 있다. 당좌는 그 주위를 원형 테두리 없이 유려한 보상화무늬로 장식하였다. 이 당좌와 공양자상의 몸체 사이에는 발원문과 함께 종 제작에 참여한 인물의 이름 등 1,000여 자의 명문이 양각으로 새겨져 있어, 당시 사회 제반 사항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금석문(金石文) 자료가 된다.

탁본. 성덕대왕신종 연곽
성덕대왕신종 당좌

출처

출처 도움말
확장영역 접기

우리나라 금속공예는 그 시원적 요소가 비록 인도나 중국에 있다 할지라도 한국적인 독창성과 특질을 지닌 우리만...더보기

  • 저자

    1959년 서울에서 출생하였고, 동국대학교와 홍익대학원 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규슈대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83년 국립중앙박물관에 입사하여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관, 국립중앙박물관 유물관리부 및 미술부 학예연구관을 거쳐 현재 국립춘천박물관의 초대 관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한국불교미술대전 - 불교공예],[갑사와 동학사],[박물관 밖의 문화유산 산책] 등 다수가 있으며 [18세기 범종의 양상과 주종장 김성원의 작품]으로 제14회 동원 학술 논문상을 수상한 바 있다.

    더보기
  • 저자

    1963년 서울에서 출생하였다.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1986년부터 학예연구사로 국립중앙박물관 근무를 시작하여 국립부여박물관을 거쳐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건립추진기획단의 학예연구관으로 일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통일신라시대 사리장엄에 관한 연구], [백제의 사리장엄에 대하여] 등이 있다.

    더보기
  • 제공처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