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손댈 때마다 떨어진다" -51% 한전 주가의 저주

입력
수정2021.12.28. 오후 6:28
기사원문
황의영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국전력은 지난 4년여 만에 주가가 반 토막 났다. 지난 2017년 5월 8일 4만5800원이던 주가는 28일 2만2500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이 기간 시가총액은 15조원 가까이 사라졌다. 증시 시총 순위(보통주 기준)도 4위에서 26위로 곤두박질쳤다.

같은 기간 지역난방공사와 그랜드코리아레저(GKL) 주가는 40% 넘게 하락했고 강원랜드, 한전KPS는 30% 이상 내렸다. 이들 종목에는 공통점이 하나 있다. 모두 공기업이란 점이다.
28일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 등에 따르면 대선이 끝나는 내년 4월 이후 전기·가스요금이 일제히 인상된다. 사진은 28일 서울의 한 다세대주택 가스 계량기 모습. 뉴스1
코스피 32% 오를 때 한전 51% 하락
국내 증시에 상장된 공기업 8곳 중 7곳은 문재인 정부 임기 중에 주가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코스피가 31.7% 오른 것과 대조적인 성적표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지난 2017년 5월 10일부터 28일까지 약 4년 8개월간 상장 공기업 8곳의 주가 흐름을 분석한 결과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들 기업 중 하락률이 가장 컸던 곳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의 한국전력(-50.9%)이었다. 지역난방공사는 현 정부 출범 직전인 2017년 5월 8일 7만800원이던 주가가 28일 3만9150원으로 44.7% 급락했다.

비실댄 곳은 이들뿐만이 아니다. 카지노를 운영하는 GKL(외국인용)과 강원랜드(내국인용)도 각각 40.9%, 35.8% 내렸다. 같은 기간 한전KPS(-31.8%)와 한국가스공사(-13.3%), 기업은행(-13.3%)도 약세를 보였다. 원자력 발전 설계 업체인 한전기술(264.8%)만이 유일하게 올랐다. 세계적인 '탈(脫)탄소' 기조에 따라 원전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매수세가 몰렸다.

공기업 주가가 대체로 부진한 건 정부의 과도한 개입 탓으로 분석된다. 익명을 원한 한 증권사 관계자는 "상당수의 상장 공기업이 정부의 가격 통제가 들어가는 전력·에너지 분야"라며 "정부가 전기요금 인하·동결 같은 선심성 정책을 펴면서 비용 부담을 공기업에 떠넘겼고, 그에 따른 부진한 실적이 주가에 직결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한국전력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 추진으로 수익성이 급격히 나빠졌다. 석탄·액화천연가스(LNG) 등 전기 생산에 들어가는 연료비는 치솟는데, 전기 요금까지 묶으면서 실적 악화를 부채질했다. 2017년 4조9532억원 영업이익을 냈던 한전은 올해 영업손실이 4조3845억원(자체 추산)에 달할 전망이다.

한전 소액주주인 이모(40)씨는 "정부가 손을 댈 때마다 주가가 내렸다"며 "개미지옥에 빠진 기분"이라고 말했다. 한국가스공사도 가스요금 동결 여파로 부담이 가중돼 왔다. 정부는 지난해 7월 가스요금을 내린 이후 18개월째 동결 상태다.
문재인 정부 임기 중 공기업 주가 등락률.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정부 규제로 투자 매력 한계"
내년 공기업의 주가 전망은 어떨까. 지난 27일 정부가 내년 대선 이후 전기·가스 요금을 올린다고 밝힌 만큼 관련 공기업 주가가 반등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실제 이런 기대감에 28일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 주가는 각각 4.9%, 4.21% 올랐다.

이민재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전기요금 정상화로 한전의 비용이 3조원 이상 절감될 전망"이라며 "한전의 밸류에이션(기업 가치 대비 주가 수준) 측면에도 긍정적"이라고 했다.

다만 좀 더 두고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정명지 삼성증권 투자정보팀장은 "주가가 싸다는 장점은 있지만, 내년 새 정부의 정책 노선에 따른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며 "최근 증시 환경을 고려해도 정부 규제를 받는 공기업은 투자 매력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공기업에 투자할 땐 주가가 정부 정책 방향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실적도 개선세가 더딜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