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터' 육종암 유발? 재료·시약이 독성 위험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ABS' 소재에서 유해물질 검출… 검증 연구 필요
3D프린터에 쓰이는 재료인 ABS를 가열하면 발암물질이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3D프린터를 이용해 수업해오던 교사 A씨가 '육종암'으로 사망했다. 육종암은 현재까지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희귀암인데, 사망한 교사의 유가족은 3D프린터가 육종암을 유발했다고 주장했다. 실제 A씨와 같은 학교에서 근무하며 3D프린터를 자주 사용한 교사 B씨도 육종암 진단을 받았으며, 3D프린터를 자주 사용한 다른 고등학교에서도 육종암 진단을 받은 교사가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정말로 3D프린터가 정말로 암을 유발한 것일까?

3D프린터는 죄가 없다… "특정 재료가 문제"
지난 2018년 한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은 3D프린터 출력에 사용되는 소재들을 고열에 녹여 유해물질이 발생하는지 실험했다. 실제 3D프린터는 작동할 때 고열을 사용한다. 그 결과, 3D프린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2종류 소재에서 모두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특히 'ABS'에서 발암물질로 알려진 유해물질이 더 많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충전재로 이뤄진 물질로 플라스틱 종류 중 하나다. 연구원은 ABS 가열로 공기 중에 퍼진 유해 물질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환기가 잘 안 되는 좁은 공간에서 노출될 경우 유해성이 더 크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ABS를 가열하면 발암물질이 나온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 물질이 '육종암'을 유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심지어는 육종암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위험요인조차 거의 밝혀진 바가 없다. 육종암이란 몸의 내부에 있는 '상피 조직'에 생기는 일반적인 암과 달리, 뼈·근육·신경·지방 등 우리 몸의 골격을 구성하는 조직에 발생하는 암을 말한다. 몇몇 유전질환을 가진 사람에게서 흔히 발생해 유전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는 것이 전부다.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정양국 교수(골연부종양·전이암센터장)는 "3D프린터에 사용되는 특정 소재가 육종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주장에 관해 학계에 보고된 바는 없다"며 "만약 3D프린터가 암을 유발했다면, 3D프린터 자체의 문제가 아닌 재료나 시약 등이 독성 문제를 일으켰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 교수는 "육종암과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서는 어떤 물질을 얼마나 취급했는지 등을 고려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교육청 늑장 대응… "안전관리 체계 마련 절실"
문제는 지난해 A씨가 사망하기 전부터 ABS의 유해성이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 사용하는 3D프린터와 관련해 아무런 안전관리 체계가 없었다는 점이다. 지난해 열린민주당 강민정 의원실이 조사한 '3D프린터 현황자료'에 따르면 전국 1184개 초·중·고에서 ABS를 3D프린터 소재로 사용하고 있었다. ABS를 사용하지 않는 학교까지 더하면 총 5222개교에 보급돼 있었다. 그런데도 사실상 안전관리 체계는 전혀 없었다. 교육청들은 뒤늦게 ABS 사용을 중단하거나, 안전 지침을 만드는 등 늑장 대처로 수습했다.

3D프린터는 '적'이 아니었다. 안전한 물질을 사용하지 않은 것이 문제였던 것. 정양국 교수는 "3D프린터에는 여러 물질이 사용되는 만큼 유해성을 일반화할 수 없다"며 "특정 물질이 유해한 것으로 밝혀진다면 사용하지 않으면 된다"고 말했다. 학생들의 교육적 체험을 강조하기 위해 3D프린터를 도입하는 학교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만큼, 확실한 안전관리 체계 마련이 절실해 보인다. 당시 강민정 의원은 “(3D프린터 사용과 관련해) 안전한 학교 환경조성 및 제반 관리체계 구축에 더 많은 정책적 역량을 쏟아야 할 것”이라고 했다.

/ 전혜영 헬스조선 기자 hyeyoung@chosun.com


헬스조선에만 있다 1: 전 국민 당뇨 솔루션!
헬스조선에만 있다 2: 국내 명의 600명 누구?
헬스조선에만 있다 3: 세상의 모든 건강 정보!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