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보는 서울]15년 뒤 전기·수소차만 사대문 내 운행 가능

입력
기사원문
김기덕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서울시 '그린뉴딜' 정책 발표…2조6000억 투입
전기·수소차만 신규 등록하도록 법 개정 추진
2050년부터는 내연기관차 운행 제한하기로
3000만 그루 나무심기·그린 리모델링 등
[편집자주] 국내 거주 외국인을 포함해 총 1001만3781명(2020년 1분기 기준)의 사람들이 모여 사는 서울시. 하루 평균 159명의 신생아가 태어나고, 124명이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합니다. 또 142쌍이 부부의 연(緣)을 맺고 46쌍이 이혼하는 현실도 벌어집니다. 바쁜 도심 속에서 지하철과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시민은 하루 평균 1189만8000여명에 달합니다. 대한민국의 교통·문화·교육·상업·첨단 산업의 중심지인 서울에서는 하루에도 다사다난한 일들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이데일리는 서울에서 벌어지는 한 주간 주요 이슈와 정책을 살펴보고, 서울 시민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사를 연재하고자 합니다.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서울시가 2035년부터 배출가스가 제로인 전기·수소차만 신규 등록이 가능하도록 법 개정을 추진한다. 개정안이 통과되면 사대문 안 녹색교통지역에서는 시내버스, 택시는 물론 일반 승용차도 전기·수소차만 운행이 가능해진다.

서울시는 지난 9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그린뉴딜 정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오는 2022년까지 2조6000억원을 투입해 건물, 수송, 도시숲, 신재생에너지, 자원순환 등 5대 분야에 걸쳐 그린뉴딜을 추진해 탄소배출 도시로 탈바꿈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당장 내년부터 시내버스는 신규 구입 및 교체 차량은 전기·수소차 도입을 의무화할 방침이다. 택시는 운송수입 감소를 보전하는 문제가 남아 있기 때문에 단계적으로 도입을 확대하고, 2030년부터는 친환경 차량 등록을 의무화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11일 “현재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 관련 부처에 전기·수소차 의무화를 건의한 상태”라며 “관련 법령을 개정해 근거를 마련하거나 신규 입법이 필요한지 논의중에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 감축 목표.


2050년. 서울 전역에 내연기관차가 아닌 친환경 차량인 전기·수소차만 운행할 수 있도록 시가 목표로 잡은 시기다. 현재 관련 법령 개정을 정부와 국회에 요청한 상태다. 당장 서울시 관용차량과 시내버스, 택시는 단계적으로 전기·수소차로 전면 교체한다. 단계적으로 오는 2035년부터는 신규 등록 차량을 친환경 차량으로만 제한하고, 2050년부터는 휘발유·경유차의 운행을 막는다는게 목표다.

68.2%. 서울 시내 건물이 내뿜는 열기가 온실가스의 전체 배출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다. 서울 지역에는 온실가스 3대 주범으로 건물(68.2%), 수송(19.4%), 폐기물(6%)이 꼽힌다.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94%를 차지한다. 시는 온실가스를 흡수할 수 있는 도시숲을 확대하기 위해 노후 공공건물 241개소를 제로에너지 건물로 바꾸는 그린 리모델링을 시작한다. 내년부터 연면적 1000㎡ 이상인 시 공공건물은 건물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한하는 ‘건물온실가스총량제’도 도입한다. 민간 신축건물에 대한 ‘제로에너지건축(ZEB) 의무화’도 정부 로드맵보다 2년 앞당긴 2023년 시작할 예정이다.

3000만. 오는 2022년까지 서울시가 새로 심기로 한 나무 그루의 목표치다. 기후 변화에 대응해 총 면적 85만㎡의 도시 숲을 신규 조성할 계획이다. 단순한 나무 심기에서 탈피해 바람길 숲(도심), 한강숲(수변 지역), 미세먼지 차단 숲(산업단지 주변) 등 지역·공간별로 특화된 도시생태계를 조성한다.

2000억.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추고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시가 2022년까지 투입하기로 한 금액이다. 상하수도시설, 도시철도시설 등 공공시설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고, 민간기업과 개인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지원도 강화한다. 대규모 발전시설 설치가 어려운 도심 특성을 고려해 외벽·창호 등 건물 외부 곳곳을 활용하는 ‘건물일체형태양광(BIPV)’도 2022년까지 120억 원을 투자해 활성화한다.

김기덕 (kiduk@edaily.co.kr)

네이버에서 ‘이데일리’ 구독하기▶
청춘뉘우스~ 스냅타임▶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