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업계 "수요 성장세에도
무리한 탄소감축이 발목우려"
車업계, 내연기관차 퇴출땐
영세 부품사 대량실업 위기
◆ 탄소중립 정책 급발진 ◆
반도체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이 1990년대부터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노력해왔다.
삼성전자에서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 부문은 메모리반도체 제조 공정 중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고효율·저전력 설비와 부품을 도입해왔다.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사업부는 지난해 상반기 저전력 선단 공정인 5나노 공정을 도입하면서 7나노 공정 대비 전력 소모를 20% 절감하기도 했다. 이처럼 온실가스 증가율을 이미 한계점까지 줄여서 관리하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감축은 실적 감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게 업계 반응이다.
안기현 한국반도체협회 전무는 "반도체 업계는 다방면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노력해왔기 때문에 추가 감축 여력은 제한적"이라면서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며 국내 기업들은 설비투자를 통해 생산량을 늘리고 있는데 업계 의견을 반영하지 않고 무조건 맞추라는 것은 무리한 요구"라고 말했다.
완성차·부품 업계에서는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위원회의 구상대로 2050년까지 전기차·수소차 등 무공해차 보급률을 97%로 끌어올린다면 대량 실직도 벌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완성차 업체도 원료 생산부터 제조 공정, 판매·서비스 등 전 제품 주기에서 탄소배출 절감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핵심은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는 친환경차 생산이다. 이르면 2030년부터 내연기관차가 줄지어 퇴출되면서 영세 부품 업체들이 생존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국내 전기동력차 생산능력을 감안할 때 2030년에는 전기차 20만대 수입이 불가피한 상황이며 시장점유율 축소, 사업구조 재편 등 여파로 완성차·부품 업계가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면서 "하이브리드차를 포함해 탈탄소 전략을 구상한 중국, 일본처럼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