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로당 출신도 독립유공자… 최근 2년간 행적불분명자 70%가 사회주의 계열

입력
수정2021.02.20. 오전 10:04
기사원문
원선우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최소 27명 남로당 등 활동 경력
문재인 대통령이 2018년 8월 15일 제73주년 광복절 및 정부 수립 70주년 기념식에서 손혜원 의원의 어머니 김경희씨에게 손 의원 부친 고(故) 손용우 선생의 건국훈장 애족장을 전달한 뒤 악수를 하고 있다./조선일보DB

문재인 정부 출범 후 독립유공자 기준을 고쳐 서훈한 ‘행적 불분명’ 인사 중 70%가량이 조선공산당·남조선노동당 등 사회주의 계열 활동 경력이 있는 것으로 31일 나타났다.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이 국가보훈처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가 출범 후 수정한 ‘행적 불분명’ 기준에 따라 2018~2020년 서훈된 독립유공자는 39명이었다. 이 중 최소 27명(69.2%)이 광복 전후(前後) 조선공산당·남로당 활동이나 노동자·농민 운동 등을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서훈된 손혜원 전 의원 부친 손용우씨는 해방 전 조선공산당 청년당원으로 활동한 전력 때문에 과거 정권에서 6차례 심사에서 탈락했었다. A 유공자는 광복 후 면(面) 인민위원장으로 활동했고 남로당에 가담한 전력이 있었다. B 유공자는 광복 후 면 인민위원장으로 활동했었다. C 유공자도 군(郡) 인민위원장 경력이 있었다. D 유공자는 조선공산당 재건동맹에서 활동했었다.

국가보훈처는 2018년 독립유공자 선정 기준을 개정해 ‘광복 후 행적 불분명자’(사회주의 활동 등)도 포상할 수 있도록 했다. 보훈처는 “북한 정권 수립에 직접 기여하지 않은 인물만 서훈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해방 후 조선공산당 시(市) 조직부장 등으로 활동했던 E 유공자의 경우 1946년 대구 10·1 사건의 중심 인물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한 박헌영과 10·1 사건이 관련 있다는 학계 주장도 있다.

한편 39명의 인사들 출신지는 호남(18명), 영남(8명), 서울·경기(4명), 충청·평안·제주(각 3명) 순이었다.

[원선우 기자 sun@chosun.com]




조선일보가 뽑은 뉴스, 확인해보세요
최고 기자들의 뉴스레터 받아보세요
1등 신문 조선일보, 앱으로 편하게 보세요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