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 사자" 지방 큰손 움직인다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상한제 추진에도 서울 집값 꿈틀
7월 상경투자 다시 1000건 돌파
정부의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발표에도 서울 집값이 들썩이자 서울 집을 사두려는 지방 '큰손'들의 상경 발길이 빨라지고 있다. 지난해 9·13대책 이후 1000건 아래로 떨어졌던 외지인(관할 시·도 외 거주자)의 서울 아파트 매매건수가 올해 7월 다시 1000건을 넘어선 것이다.

2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7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총 7009건 중 외지인 매매건수는 1498건으로 9개월만에 네자릿수를 회복했다.

양도소득세 중과(무겁게 매기는 것) 시행 직전인 지난해 3월 3098건까지 치솟았던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건수는 4~5월 1000건대, 6월 800건대로 추락했다. 서울 집값이 다시 꿈틀거리자 7~8월 1000건대, 9~10월 2000건대로 급증했다가 정부의 9·13대책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11월부터 다시 1000건 아래로 뚝 떨어졌다. 올해 2월 337건으로 바닥을 친 뒤 3월 373건, 4월 478건, 5월 699건, 6월 911건, 7월 1498건으로 5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 중이다.

지방 큰손들의 서울 아파트 매입은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에서 두드러졌다. 서초구에서는 6월 29건에서 7월 91건으로 3배 이상, 강동구에서는 33건에서 87건으로 2배 넘게 늘었다. 강남구에서는 127건, 송파구는 157건으로 전월 대비 각각 32%, 84% 외지인 매매건수가 증가했다. 전체 매매건수에서 외지인 매매 비중에서도 강남4구는 모두 20%를 넘었다. 강동구(28.4%), 서초구(25%), 송파구(23%), 강남구(22.3%) 순이었다.

이처럼 지방 큰손들이 몰리는 이유는 분양가상한제가 시행되면 서울에서 주택공급물량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조합들이 사업을 미루면서 공급이 줄면 새 아파트의 희소성이 높아지고 결국 가격 상승이 기대돼 웃돈을 주더라도 아파트를 매수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이유는 갈수록 두드러지는 지역 간 집값 양극화 문제 때문이다. 지방 시장의 침체가 계속되면서 투자할 곳을 잃은 자금이 서울로 몰리고 있는 것이다.

kmk@fnnews.com 김민기 서혜진 기자

▶ 헉! 소리나는 스!토리 뉴스 [헉스]
▶ 클릭해, 뉴스 들어간다 [뉴스쿨]
▶ 세상에 이런일이 [fn파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