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4명 중 1명 "통일 필요 없어"…文정부 출범 이후 가장 높아

입력
수정2020.10.21. 오전 11:09
기사원문
김금이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젊은층 가장 부정적…빈부격차·지역갈등·범죄 우려 커
`북한정권신뢰도` 51.6%→33.7% 급락


우리 국민 4명 중 1명은 향후 남북통일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2019년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의 결렬 이후 북핵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지면서 대북 여론이 악화되는 모습이다.

13일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은 학술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0 통일의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 7월 22일부터 8월 17일 간 전국 성인 남녀 1200명을 상대로 1:1 면접조사 형태로 이뤄졌다.

조사에 따르면 통일이 '별로' 또는 '전혀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이 지난해 20.5%에서 올해 24.7%로 증가했다. 이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특히 20대와 30대 젊은층에서 각각 35.3%와 30.8%가 통일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했는데, 40대(19.3%), 50대(18.8%)의 인식과 크게 다른 결과다. 반면 통일이 '매우' 혹은 '약간 필요하다'는 응답은 52.8%로 지난해 53%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남북관계 개선 기대감이 고조됐던 2018년 59.8%에 비하면 줄어들었다.

통일의 이유에 대해선 조사 이래 처음으로 '안보문제 해결'이란 응답(37.9%)이 '같은 민족이기 때문' 이란 응답(37.3%) 보다 많았다. 앞서 "같은 민족이니까"라고 응답한 비중은 2008년 57.9%까지 치솟았지만, 올해는 그 보다 20%포인트 이상 낮은 수치를 보였다. 또 "남북한 간 전쟁위협을 없애기 위해"라는 응답은 2008년 14.5%에서 올해 37.9%로 두 배 이상으로 뛰었다.

김범수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교수는 "지난해 10월 스톡홀름에서 북미협상 결렬과 지난 6월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이후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정착에 대한 낙관적인 기대감이 사라짐에 따라 더욱 신중해진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증가하면서 통일 가능 시기를 5년 이내, 10년 이내로 응답한 비율은 각각 2.4%, 11.7%로 2018년에 비해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통일 이후 사회문제 개선에 대한 기대감은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특히 빈부격차(17.3%), 지역갈등(15.6%), 범죄문제(13.8%), 이념문제(13.8%) 등을 우려했다.

북한에 대한 부정적·비판적 인식은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북한 정권에 대한 신뢰도는 큰 폭으로 하락했다. 실제 '북한정권신뢰도'는 33.7%로 지난해 51.6%에 비해 크게 낮아졌고, 북한을 '적대대상'으로 인식한다는 응답은 10.8%에서 14.8%로 늘었다.

김병로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연구위원은 "북미관계와 남북관계의 진전이 없는 한 공무원 피격사건 등으로 향후 대북 부정적 태도는 높아지겠지만 8차 당대회 등 북한발 정치행사로 상쇄 가능성이 공존한다"고 밝혔다.

[김금이 기자]

▶ 네이버 메인에서 '매일경제'를 받아보세요
▶ 궁금한 제조과정 영상으로 보세요. '이렇게 만들죠'
▶ 매일매일 색다른 뉴스레터 '매콤달콤' 구독하세요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