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닫기
“투표할 때, 몇 번 찍느냐”가 중요한 이유는
당선 이후,
“믿었던 도끼에 발등을 몇 번 찍히느냐”의 문제가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사람이 대통령이 되느냐에 따라,
어떤 리더쉽을 발휘하느냐에 따라
한 국가의 운명이 달라짐은 분명하죠.
이런 대통령, 어떻습니까?
우루과이는 축구로만 유명한 나라였습니다.
그런 우루과이에
세계적으로 유명한 대통령이 탄생했으니,
취임할 때, 52%의 지지를 받았으며,
퇴임할 때, 65%라는
더 높은 지지율을 기록한
국민이 가장 사랑하는 대통령,
“호세 무히카"입니다.
2015년 3월,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호세 무히카는
‘세상에서 가장 가난한 대통령’으로 많이 알려졌습니다.
[사진 우루과이 전 대통령 '호세 무히카']
재임 기간 그는 봉급의 87%를 기부했으며,
퇴임 후, 그의 전 재산은,
오래된 농장, 1987년식 자동차 한 대,
그리고 20년 가까이 함께 살아온
다리가 하나 없는 개 한 마리.
이것만 보자면
그는 ‘세상에서 가장 가난한 대통령’이 맞을 겁니다.
하지만 책, <호세 무히카 조용한 혁명> 에서
호세 무히카는
“나는 세상에서 가장 가난하지 않다!”라고 항변합니다.
“난 가난하지 않다. 절제하는 것이다.
가난한 사람들은 필요한 것이 많은 사람인데,
나는 더는 필요한 것이 없다.
나는 절제할 줄 아는 것이지,
가난한 것이 아니다.”라는 겁니다.
[사진 우루과이 전 대통령 '호세 무히카']
책에서 만난 인간 호세 무히카는 수수했고,
정치인 호세 무히카는 조용했지만, 강인했습니다.
지구촌을 지배한 소비주의를
가장 따뜻한 어법으로 비판하고, 공감을 얻은 그는
2013, 2014 노벨 평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는데요,
책 <호세 무히카 조용한 혁명> 은
날카로운 시각을 가진
현직 기자가 적은 그의 일대기입니다.
무히카의 대통령 재임기를
집중 조명한 첫 책이기도 한데요.
읽다 보면 이런 생각이 절로 납니다.
"이런 대통령이라면, 나도 찍겠다!"
이런 사람, 읽어보세요.
1. 인생이 왜 이렇게 안 풀릴까?
가난한 어린 시절,
학업도 다 못 마친 호세 무히카만 하려고요.
2. 진정한 리더란 무엇일까?말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주는 리더십을 배워보세요.
3. 나눔이란 무엇일까?다 가진 후에 남는 것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다 나눈 후에 나머지를 감사히 가진 사람이 있습니다.
무소유의 삶이란?
이렇게 빛나는 겁니다..
국민이 사랑한 가장 따뜻한 대통령,
책, '호세 무히카 조용한 혁명' 입니다.
책 미리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