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이면 충전 OK’ 수소차 내세우는 정부, 이유 있다

입력
수정2021.03.02. 오전 10:30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전기차 vs. 수소차, 내수·수출 다 전기차 압승
정부 정책은 전기차보다 수소차에 무게
출력·충전속도 등 미래 시장 가능성에 초점


바야흐로 친환경차 시대다. 내수와 수출 모두 각각 연간 20만대 이상의 친환경차 판매 실적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휘발유·경유차보다 연료비가 저렴하면서 환경까지 지킬 수 있다는 인식이 불러 온 현상이다. 다만 다양성은 떨어진다. 친환경차 경쟁을 전기차와 수소차 구도로 봤을 때 전기차 점유율이 압도적이다. 시장은 아직까지 수소차를 높게 평가하지 않는다.

‘수소경제’를 전면에 내세우고 수소차 진흥에 속도를 내는 정부와 시장이 괴리를 보이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에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그렇다면 정부의 방향성은 틀린 걸까. 에너지 분야 전문가들은 ‘그렇지 않다’고 단언한다. 한국이 앞서가는 수소차 기술의 미래 가치를 고려해야 한다고 평가한다. 전기차보다 연료 충전 시간이 짧다는 점도 평가에 힘을 싣는다. 차세대 먹거리가 될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것이다.

친환경차 50만대 판매, 수소차는 ‘찔끔’
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친환경차 판매량은 내수와 수출을 합해 50만3107대를 기록했다. 내수(22만6668대)와 수출(27만6439대) 모두 20만대를 넘어섰다. 전체 판매량이 50만대를 넘어선 것도, 내수에서 20만대를 넘어선 것도 지난해가 처음이다. 가파른 속도로 친환경차가 판매가 늘어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기차 영향이 크다. 친환경차 내수는 하이브리드차(16만1450대) 전기차(4만6197대) 플러그인 하이브차(2만6730대) 순으로 집계됐다. 수출 상황도 엇비슷하다. 반면 전기차의 대항마라 할 수 있는 수소차 실적은 저조하다. 내수(5786대)와 수출(995대)을 합해도 7000대에 못 미친다.



당분간 이 성적표가 뒤바뀔 가능성은 적다. 테슬라나 현대차 아이오닉5 등 1회 충전으로 400㎞ 이상 달리는 모델이 날개돋힌 듯 팔린다. 지난달 발표한 ‘4차 친환경차 기본계획’은 전기차 주행 거리를 600㎞까지 늘린다는 목표치도 제시했다. 한 번 충전하면 600~700㎞ 정도 달리는 수소차를 따라잡을 날이 멀지 않았다. 충전소 문제도 수소차보다 전기차를 선호하게 만든다.

전기차 대세라는데 정부 왜 수소차 투자하나
그런데도 정부의 친환경차 지원책은 수소차에 무게가 실려 있다. 2019년 1월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은 2040년까지 누적 620만대의 수소차를 생산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담았다. 수소택시(8만대)나 수소버스(4만대) 공급과 함께 수소 충전소도 대폭 늘릴 계획이다. 세계 최초로 수소차를 개발한 일본조차 미적대는 분야에 전력투구하는 형국이다. 홍종호 서울대 교수는 “전기차와 달리 전기로 수소를 만들고 이를 다시 전기로 환원하는 수소차는 비효율적”이라고 진단했다.



정부가 굳이 수소차에 투자하는 이유를 전문가들은 ‘미래 시장’에서 찾는다. 전기차는 충전 시간이 난제로 꼽힌다. 아이오닉5의 경우 80% 충전에 18분이 걸린다. 향후 충전 속도를 더 단축할 가능성은 있지만 고속 충전으로 배터리 수명까지 함께 단축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수소차는 액화석유가스(LPG)처럼 3분이면 충전하고 배터리 수명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전기차보다 출력이 월등한 점도 강점이다. 홍 교수는 “대형 트럭의 경우 출력 면에서 전기차보다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수소 생산량을 확대하려는 국제사회의 움직임도 수소차 개발에 당위성을 부여한다. 시장성이 충분하다는 것이다. 문재도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 회장은 “휘발유차 있어도 경유차를 구매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평가했다.

세종=신준섭 이종선 기자 sman321@kmib.co.kr

▶ 네이버에서 국민일보를 구독하세요(클릭)
▶ 국민일보 홈페이지 바로가기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