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혜선 마스크' 생산 보류…'조선구마사' 역사왜곡 여파

입력
기사원문
마아라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마아라 기자]
배우 신혜선 /사진제공=CJENM
SBS 드라마 '조선구마사'가 역사왜곡 논란에 휩싸이면서 박계옥 작가의 전작인 드라마 '철인왕후' 역시 과거 역사왜곡 논란이 있었던 것이회자되고 있다. 이에 '철인왕후'에 출연했던 배우 신혜선을 모델로 내세웠던 마스크 업체가 소비자들의 항의를 받으면서 '생산 중단' 결정을 내렸다.

25일 위머스트엠 측은 '철인왕후' 역사왜곡 논란과 관련해 신혜선을 자사 모델로 기용한 입장을 전했다.

위머스트엠 측은 "비록 판타지 역사소설이지만 중국의 웹소설을 배경으로 했다는 '철인왕후'의 역사왜곡으로 인해 모든 네티즌들께 심려를 끼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까지 수익의 사회환원과 착한기업 착한기부를 몸소 실천한 회사"라며 "모든 제품은 100% 국내생산"이라고 중국 생산 의혹을 부인했다.

/사진=위머스트엠 홈페이지
위머스트엠 측은 "신혜선 마스크 모델로 생산 중이던 1100만장의 마스크는 보류했다. 의견을 검토한 후 생산 여부를 결정하는 등 의견수렴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측은 신혜선 모델기용에 대해 "신혜선 배우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철인왕후'의 내용 등이 우리민족의 정통성을 왜곡되는 부분을 심각하게 고려하지 못한 점은 회사의 대표로서 거듭 유감의 뜻을 전한다"며 "모델을 선정할 때 신혜선의 굿네이버스 활동 등을 고려하였고, 당사의 착한기업 정서와 부합되어 선정하게 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마지막으로 "회사의 방침이 확정 되는데로 추후 2차 공지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철인왕후'는 방송 첫 주 만에 조선왕조실록, 종묘제례악 등 문화유산 비하와 실존 인물인 조대비(신정왕후)에 대한 저속한 묘사로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이어 최근 방영된 '조선구마사'가 중국식 음식·칼 등 소품 사용, 한푸(중국 전통의상)와 닮은 무녀의 복식과 머리모양, OST에 사용된 중국 악기 등으로 논란이 일자 작가의 전작과 전작에 출연한 배우까지 부정적인 영향이 미치고 있다.

마아라 기자 aradazz@

▶부동산 투자는 [부릿지]
▶주식 투자는 [부꾸미TALK]
▶부자되는 뉴스, 머니투데이 구독하기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