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는 문화기반 시설 확충을 위해 오는 2026년까지 5년간 총 3951억원을 투입한다고 29일 밝혔다. 시는 이 기간 17개 주요 문화기반시설을 확충한다.
시는 우선 684억원을 들여 맞춤형 시립도서관을 자치구마다 건립한다. 서구 상무지구 '대표도서관'과 광산구 '하남지구 시립도서관'이 실시설계를 마치고 내년 상반기 착공에 들어간다.
2023년까지 이들 2개 도서관이 완공되면 산수도서관, 사직도서관, 무등도서관과 함께 5개 자치구에 도서관이 모두 들어서 자치구별 균형 잡힌 도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남구 사동 일원에 추진 중인 '시립점자도서관' 건립사업에는 총사업비 19억원이 투입된다. 내년 말까지 완공해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성에 도움을 주게 된다.
시는 또 건축구조가 독특한 옛 상무소각장과 극락강역 폐사일로를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한다.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 지방투자심사 등 모든 행정절차를 마치고 현재 설계용역을 추진 중이다.
총사업비 450억이 투입되는 옛 상무소각장 문화재생사업은 오는 2023년까지 설계를 마치고 2025년 말 완공될 예정이다.
동명동은 광주의 대표적 문화마을로 꾸민다. 170억원을 들여 동계천로, 장동로 주변의 환경을 정비하고 옛 전남 도교육감 관사를 관광 거점공간으로 만든다.
이곳에는 내년 2월 '여행자의 집(Zip)'이 문을 열게 된다.
역사문화 자원을 되살리는 사업도 벌인다. 19세기까지 실존했던 '전라도 천년기념 희경루 중건 사업'에 60억원을 투입한다. 광주공원 일원에서 진행 중인 해당 공사는 내년 10월 완공된다.
마한 유적지인 '광주신창동 마한유적 체험관'도 공사가 한창이다. 120억원이 투입돼 내년 5월 개관할 예정이다.
시는 이곳을 방문하는 학생들에게 우리 선조들의 소중한 역사를 배우는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문학인들의 오랜 숙원인 광주문학관 건립사업도 북구 문화동 시화마을에 136억원의 예산으로 순조롭게 건립되고 있다.
광주 출신 중국3대 음악가 정율성 선생 생가정비사업도 막바지 토지보상을 마치고 내년부터 본격 건립 공사에 들어간다.
이밖에 '광주 아시아독립운동역사관'과 ‘사직공원 상설공연장’ 등도 문화교육 사업을 위해 별도로 건립한다.
김준영 광주시 문화관광체육실장은 “문화중심도시를 표방하는 광주 시민들의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각종 시설을 늘리는 데 소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