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설훈 의원. KBS ‘사사건건’ 홈페이지 캡쳐 |
설 의원은 28일 오후 KBS 1TV ‘사사건건’에 출연해 이번 사건을 박근혜정부 당시 ‘세월호 참사’와 비교하며 대통령의 행적을 문제 삼는 야당의 비판에 이 같이 반박했다. 그는 “(야당은 세월호 때 상황과) 똑같이 보려고 그러는데, 이건 아니다”라며 “(실종 공무원이) 북한으로 넘어갔고, 넘어간 상태에서 알았는데 무슨 재간이 있어서 그걸 구출하겠느냐”고 되물었다. 설 의원은 “구출하라고 그러는데 구출할 수단이 아무것도 없다”며 “그 상황에서 전투를 하나? 그럴 순 없는 것 아니냐”고도 덧붙였다. 그는 또 “이 사안으로는 대통령이 NSC에 참석 안할 수 있다”고도 말했다.
이어 설 의원은 “그걸 새벽에 (대통령이) 주무시는데 이런 사안입니다, 하고 보고할 내용이냐”라면서 “전투가 붙었나? 교전 상태도 아니다, 그런 상태인데 대통령을 새벽 3시에 깨워서 보고를 한단 말이냐”고 반문했다. 설 의원은 또 “그런 보고가 세상에 어디 있느냐”며 “아침 8시에 보고를 한 건데 뭐가 잘못됐다는 것이냐”고 외려 불만을 터뜨리기도 했다.
설 의원은 김 위원장이 사살을 직접 승인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야당의 주장에 대해선 “이미 북쪽에서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을 위해 압록강과 두만강을 넘어가는 사람을 사살하라, 이런 지시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런 개념으로 본다면 김 위원장의 지시 없이 진행됐을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제가 볼 땐 이건 (김 위원장) 본인하고 상관없이 된 부분이기 때문에 빨리, 그리고 과감하게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한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다만, 설 의원은 “이건 정확히 잘 모르겠다”는 말을 수 차례 반복했다.
북한이 보내온 통지문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사과가 담긴 데 대해 설 의원은 “지금까지 6·25 전쟁 이후로 북한의 최고 지도자가 남쪽에 대해서 사과한 사례가 없다”면서 “전 세계도 이 부분에 대해서는 놀랐다고 얘기하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설 의원은 “그 내용을 봐도 진실한 게 아니라고 얘기할 수가 없다”며 “두 번에 걸쳐 잘못된 것이다, 미안하다, 이렇게 돼 있는데 그걸 의미 없다고 한다면 그건 사실과 다른 이야기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야당이 “김 위원장의 사과는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것일 뿐, 진정성이 없다”고 지적한 데 대한 반박이다.
설 의원은 “북한에 대한 평가야 여야가 서로 다를 수는 있지만 적어도 이 경우엔 냉정하고 정확하게 보고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북한을 두둔할 생각은 없지만 정확히 있는 사실들을 보고, 북한이 잘못한 부분은 잘못했다고 얘기하고 잘못하지 않은 부분은 그건 아니라고 얘기할 수 있어야 대한민국 위상이 살아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 사건 관련 ‘남북 공동조사’의 성사 가능성에 대해서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코로나19와 과거 박왕자씨 피살 사건·천안함 사건 때의 전례 등을 근거로 들었다. 설 의원은 (남북) 통신선 회복이 가장 중요하다고도 주장했다.
김주영 기자 bueno@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