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코스닥 시총 지각변동…4대 그룹 증 SK 시총 42.5조 늘어

입력
수정2021.12.19. 오후 12:19
기사원문
이민지 기자
TALK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기아·카뱅 시총 10위 진입…NAVER·카카오 약진
코스닥, 에코프로비엠 셀트리온헬스케어와 시총 1조 차이

LG에너지솔루션 내년 상장…4대 그룹 시총 경쟁 더 치열해질 듯
올해도 코스피와 코스닥 주식시장 내 시가총액 순위 경쟁이 치열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피에선 인터넷주, 코스닥에서 2차전지주와 게임주가 치고 올라갔다. 올해 4대 그룹 중에선 SK그룹사의 증시 입성이 두드러지며 시총이 가장 큰 규모로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 코스피 기아·카뱅, 코스닥 엘앤에프·위메이드 10위권 진입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보통주 시총 순위 10위 안에 새롭게 이름을 올린 종목은 2개였다. 지난해 10위 안에 있던 셀트리온과 삼성물산이 10위 밖으로 빠지고 대신 기아(34조2937억원)와 카카오뱅크(30조3626억원)가 입성했다. 작년 말 시총 12위였던 기아는 호실적과 전기차 사업 기대 등에 9위로 올라 현대차(44조7634억원) 뒤를 이었다. 카카오뱅크(30조3626억원)는 지난 8월 6일 상장과 동시에 금융 대장주에 등극했으며, 한때 시총에서 현대차를 앞질러 8위까지 올라갔다.

상반기 큰폭의 주가 오름세를 보였던 인터넷 기업도 약진했다. NAVER가 48조470억원에서 63조1593억원으로 늘면서 시총 6위소 4위로 올라섰고, 카카오는 34조4460억원에서 52조3797억원으로 9위에서 5위로 올랐다. 셀트리온은 작년 말 코스피 시총 5위에서 현재 11위로 밀려났는데 올해 들어 시총은 48조4642억원에서 28조5551억원으로 20조원 가까이 감소했다. 삼성물산은 10위에서 17위로 하락하며 크래프톤(14위), 카카오페이(15위) 등 올해 상장한 대어급 성장주에 밀렸다.

코스닥 시총 10위안에서도 2개 종목이 교체됐다. 4위였던 바이오주 알테오젠과 10위였던 5G 장비주 케이엠더블유가 각각 12위, 33위로 내려갔다. 대신 2차전지 소재주 엘앤에프(6조9481억원)가 20위에서 4위로 뛰어올랐고, 작년 말 104위에 그친 게임주 위메이드(5조3716억원)는 단숨에 6위로 수직 상승했다.

10위 안을 유지한 종목 중에서도 에코프로비엠(7위→2위), 펄어비스(9위→3위), 카카오게임즈(8위→5위 등) 2차전지주와 게임주의 순위 상승이 두드러졌다. 특히 에코프로비엠은 1위 셀트리온헬스케어와 시총 차이를 1조6000억여원으로 좁히며 1위 자리도 넘보고 있다. 반면 셀트리온제약(2위→7위), 에이치엘비(5위→9위), 씨젠(3위→10위) 등 바이오주는 대거 순위가 하락했다.

◆ 4대 그룹 중 SK 시총 42.5조 늘고 LG 9조 줄어
SK리츠(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가 다음달 코스피 시장에 입성한다. 18일 SK그룹 본사인 종로구 SK서린빌딩 모습. /문호남 기자 munonam@


올해 4대 그룹 중에선 SK그룹의 시총이 급증했다. SK 그룹 상장사 27개 종목(우선주 포함)의 시총 합계는 211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말(169조2000억원)보다 42조5000억원(25.13%)가량 증가했다. 상반기 SK바이오사이언스(19조7000억원)와 SK아이이테크놀로지(12조3000억원)의 증시 입성이 그룹사 시가총액 규모 증가를 주도했다.

그룹주 1위인 삼성그룹 23개 상장사의 시총은 지난해 말(724조6000억원)보다 8조원(1.10%)가량 증가한 732조6000억원이다. 작년 말과 연초 가파르게 올랐던 삼성전자 주가가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면서 지난 10월엔 700조원 선을 내주기도 했지만 현재는 삼성전자의 회복세와 모더나 백신 품목 허가 등 호재로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가 크게 상승하면서 700조원선을 회복했다.

현대자동차그룹 상장사 17곳의 시총은 작년 말보다 17조2000억원(118조8000억원→136조원) 증가했다. 호실적에 기아(37.34%)를 비롯해 현대차(9.11%), 현대제철(8.33%), 현대건설(31.18%), 현대오토에버(5.26%), 현대위아(43.55%) 등 13개 종목의 시총이 증가했고 현대모비스(-4.11%), 현대글로비스(-10.60%) 등 4개 종목의 시총은 줄었다.

반면 LG그룹(134조6000억원)은 시총이 9조4000억원가량 줄면서 현대자동차에 밀려 그룹 시총 4위로 내려앉았다. 배터리 대장주 LG화학(8조4000억원)이 제너럴모터스(GM) 전기차 리콜, 물적분할한 LG에너지솔루션의 상장 본격화 등 이슈가 겹치면서 시총 순위는 3위에서 6위로 내려갔다. LG이노텍은 애플카 수혜주로 꼽히며 올해 81.92%나 뛰었으나 LG전자(-3.70%), LG생활건강(-29.94%) 등도 그룹 시총을 깎아내렸다.

이외에 올해 카카오 그룹은 시총 5위로 올라섰는데, 카카오뱅크(30조원)와 카카오페이(24조3000억원) 상장으로 작년 말 37조4000억원에서 115조1000억원 규모로 3배가량 덩치가 커졌다.

내년에도 그룹별 대형주 상장이 예정된 만큼 그룹 시총 변동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내년 1월 상장 예정인 LG에너지솔루션의 시총은 공모가 기준 60조원∼70조원으로 전망되는데 100조원대에 달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의 상장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LG그룹주는 현대차와 SK그룹을 넘어 시총 2위로 올라설 것으로 예측된다. 현대자동차그룹에선 현대엔지니어링(4조~6조원)이 카카오그룹에선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등이 증시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기자 프로필

TALK

응원의 한마디! 힘이 됩니다!

응원
구독자 0
응원수 0

반갑습니다, 유통경제부 이민지 기자입니다. 기사 제보 기다립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