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소문사진관]가장 오래된 한글 지도엔···독도·대마도 표시 선명

입력
수정2019.05.10. 오후 7:06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부산의 국립해양박물관은 10일 소장자료인 '한글조선전도'(한글朝鮮全圖)가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00호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제작 연대는 18세기 중반부터 19세기 초반 사이로 추정된다.

크기는 가로 63㎝, 세로 103㎝로 한지에 수묵과 담채로 지리적 형태를 묘사하고 한글로 지명을 적었다. 334관의 주부군현은 원형으로 도장을 찍어 표시했다. 박물관 측은 현재까지 알려진 한글 지도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지도의 존재가 처음 알려진 것은 2013년 미국 컬럼비아대 개리 레드야드 교수가 국내에 논문을 발표하면서다. 이후 개인 소장자가 프랑스에서 입수해 해양박물관에 매도했다.

서울(경)과 평양 사이의 지형이다. 서울의 경계가 삼각산(북한산), 목멱산(남산) 사이로 되어 있다. 평양 부근에는 낙랑, 단군(조선), 기자(조선) 등의 역사적 명칭을 기록했다. 개성 곁에는 '고려'를 적었다.

동해에 울릉도와 우산도(독도)를 선명하게 그려 넣었다.
일본은 우산도가 울릉도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우리 역사에서 독도의 명칭은 우산도였다. 그것은 『세종실록지리지』 편찬 이후 확립된 개념이다. 지도에서 보다시피 우산도가 울릉도라면 다른 섬으로 표시했을 리가 없다.

'한글조선전도'에는 대마도도 표시돼 있다. 지도 제작 당시 조선 사람들의 생활권을 짐작하게 해 주는 자료다.

압록강 하류 지역이다. 강 건너 빈 곳에 '서울서 북경까지 삼천이백리(10리를 4.5km로 계산하면 1,440km)'라고 표기해 중국의 수도 북경과의 거리를 밝혔다. 그 오른쪽엔 역사적 명칭인 낙랑, 안시성, 등을 표기했다.

강릉까지 '서울서 육백리(270km)'라고 적고 오른쪽 빈 곳에 조선의 동서와 남북거리를 밝혔다. '동서 일천칠십삼리(483km), 남북 삼천삼백칠십삼리(1,518km)'다. 강원도 지명인 양양, 강릉, 인제, 설악산, 한계령 등이 보인다.

조선 334개 주부군현의 도별 분포다.
경상도가 71곳으로 가장 많고 황해도와 함경도가 23곳으로 가장 적다.

[사진 국립해양박물관]
한글조선전도(朝鮮全圖) 전체 모습이다.

최정동 기자



네이버 메인에서 중앙일보를 받아보세요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