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인구 83만명대 지속…'2030년 105만명' 목표 요원

입력
수정2019.01.04. 오전 7:59
기사원문
박재천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세종시 빨대 현상'에 최근 4년간 1만7천명 청주서 순 유출

청주시의회 "다음 기본계획 수립 시 적정 인구 조정해야"

(청주=연합뉴스) 박재천 기자 = 충북 청주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5년째 83만명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옛 청주시와 청원군 행정구역 통합의 시너지 효과로 2030년 인구 105만명의 중부권 중추도시로 성장하려는 청주시의 구상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기사 내용과 관계없습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해 12월 말 현재 외국인을 제외한 청주의 주민등록 인구는 83만7천749명이다.

통합 청주시 출범 첫해인 2014년(83만1천521명)보다는 0.74% 늘었다.

그러나 2016년(83만5천197명)보다는 0.3%(2천552명), 2017년(83만5천590명)보다는 0.25%(2천159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 때문에 시가 2015년 3월 수립한 2030년 도시기본계획의 목표 인구(105만명)를 수정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통합 청주시는 애초 세종시 배후도시로서의 성장 잠재력과 산업단지·택지개발 등 각종 개발 호재에 힘입어 급격한 인구 증가세를 기대했다.

그러나 실상은 달랐다. 무엇보다 세종시의 '빨대 현상'이 뼈아팠다. 신규 아파트가 대거 공급되면서 상대적으로 전셋값이 싸고 지리적으로 가까우며, 도시 인프라도 확충된 세종으로 청주 인구가 대거 유출된 것이다.

2014년 7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4년간 2만5천845명이 청주에서 세종으로 주민등록을 옮겼다.

거꾸로 이 기간 세종에서 청주로 주민등록을 옮긴 사람은 8천648명에 불과했다. 무려 1만7천197명이 세종으로 순유출된 것이다.

청주에 청주테크노폴리스, 오창테크노폴리스, 오송제2생명과학단지, 오창제3산업단지 등 산업단지가 연이어 조성 중이고, 곳곳에서 도시·택지개발 사업이 진행되는 등 인구 증가 요인이 없지는 않다.

하지만 저출산 현상이 지속하고 있고, 대규모 새 아파트 단지 입주도 주로 지역민들의 거주지 이동에 의한 것이어서 2030 도시기본계획 상의 인구 달성은 거의 불가능해 보인다.

청주시가 개발 가용지 확보 등을 위해 2030 도시기본계획을 일부 변경하려는 데 대해 청주시의회가 지난해 말 "변경안 추진은 불가하며, 계획인구는 다음 기본계획(2040) 수립 시 적정하게 조정하는 것을 검토하라"는 의견을 제시한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시의회는 도시 기본계획상의 과도한 계획인구가 도심 외곽 등의 난개발을 부르고, 도심 공동화를 촉진할 수 있다고 우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목표 인구를 토대로 도시계획을 수립한 것이어서 2030 도시기본계획의 인구 변경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2040 도시기본계획에서 계획인구를 재설정할 것으로 보인다.

jcpark@yna.co.kr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고 스타벅스 커피 드세요

▶뭐 하고 놀까? #흥 ▶쇼미더뉴스! 오늘 많이 본 뉴스영상

기자 프로필

구독자 0
응원수 0

요차불피(樂此不疲), 좋아서 하는 일은 지치지 않는다. 좋은 기사를 향해 내일도 뛰겠습니다. 나에게 주어진 사명감, 변함없이 끝까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