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이 농촌 고령화, 인력부족, 낮은 생산성 해답"

입력
수정2020.08.27. 오후 5:08
기사원문
이경민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스마트팜 전략 콘퍼런스 2020
통신 인프라·관제시스템 표준 필요
중동 수출 등 농업 경쟁력 강화 강조
농식품부, 청년보육센터서 인재 양성
전자신문사가 주최한 농·축산업과 정보통신기술(ICT)의 만남 스마트팜 전략 콘퍼런스 2020이 27일 서울 영등포구 전자신문 본사에서 온라인 생중계됐다. 이강진 농촌진흥청 농업공학부장(오른쪽)이 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농촌의 고령화, 인력 부족, 낮아진 생산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스마트팜을 빠르게 확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는 청년보육센터를 세우고 교육을 거쳐 스마트팜밸리 등과 연계해 스마트 농업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27일 전자신문사가 주최한 '스마트팜 전략 콘퍼런스 2020'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스마트팜을 활성화해 농촌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나아가 우리 농업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마트팜 기술 측면에서 통신 인프라, 관제시스템, 구동기 등 기자재 표준 필요성이 제기됐다. 여현 순천대 지능형 스마트농업 그랜드 ICT연구센터장은 “국내 스마트팜 기자재 업체가 영세해 해외 기자재 의존도가 높다”면서 “해외 기기는 사후관리 문제가 불거지고 있어 관련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여 센터장은 “스마트팜 기자재 간 호환성이 낮고, 기술인력 부족 문제도 있다”고 지적하고 표준이 개발되면 국산 기자재 품질을 높이고 인력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축산 분야에서도 정보통신기술(ICT)과 접목한 스마트팜 기술이 진화한다. 송준익 연암대 교수는 ICT 활용으로 양돈의 최대 산출량(MSY, 어미돼지당 연간 출하 두수)이 16에서 21로 31% 증가했다고 말했다. 산란계의 산랸율도 80% 향상했고 낙농 분야에서 젖소의 착유량은 마리당 29㎏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축산분야에서 농장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 중으로 향후 모니터링과 자동제어가 가능할 전망이다. 시스템을 가동하면 돈사 내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 발생 시 휴대폰 등에 메시지를 보내 원격 환기 제어 등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또 사육장별로 회전과 줌기능이 탑재된 CCTV 카메라를 설치해 실시간 사육장 상황 관찰이 가능하다. 축적된 환경정보와 사료, 용수 등 돼지 행동패턴을 분석해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이창욱 알에프디바이스 상무는 중동지역에 진출한 경험을 토대로 현지 시장 진출에 필요한 조건과 필수 장비 등을 설명했다. 그는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등은 사막 기후로 농업생산성이 낮지만 국가 지원이 많다”면서 “환경에 맞는 조건과 필수장비를 잘 선택하면 수익 실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강호진 주한네덜란드대사관 농무관은 세계 2위 농식품 수출국 네덜란드의 농식품 산업을 소개했다. 김 농무관은 “네덜란드는 스마트팜을 통해 기후와 병충해를 관리하고 유통을 개선해 다른 국가보다 얻는 이득이 많아졌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네덜란드는 조합을 중심으로 경지를 합병해 농장을 규모화하고 아울러 연구개발은 물론 기계와 첨단장비를 활용해 노동생산성을 개선했다고 강조했다.

<전자신문DB>

정부는 스마트팜 확산을 위해 다각도로 지원할 방침이다. 심동욱 농림축산식품부 농산업정책과 사무관은 “농가인구가 감소화하고 고령화가 지속됨에 따라 농업성장률이 정체해 있다”면서 “스마트팜을 통해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농가 인구는 1995년 485만명에서 2018년 232만명으로 절반 이하로 줄었다. 65세 이상 경영주도 1995년 24%에서 2018년 60%로 늘면서 고령화가 심각하다.

생산과 인력, 기술 혁신을 위한 해답으로 스마트팜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청년 창업농을 위해 청년보육센터를 세우고 교육을 거쳐 스마트팜밸리 등과 연계해 양성할 계획이다.

심 사무관은 “경북 상주, 전북 김제, 경남 밀양, 전남 고흥 등 스마트팜 혁신밸리로 선정된 거점 지역을 중심으로 청년창업농과 농산업을 육성해 스마트 농업을 확산하는 계기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농촌진흥청은 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지난해 예비타당성조사 최종 단계를 통과해 7년간 3867억원이 투입되는 사업이다. 이강진 농진청 농업공학부장은 “현재 스마트온실은 원격 시설제어가 가능하지만 의사결정은 사람에 의존한다”면서 “2025년에는 데이터에 기반한 생육관리가 가능하고 2030년에는 지능형 로봇농장이 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해외에서는 과일 재배를 돕는 로봇이 상용화 단계에 있다. 이 부장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식품부, 농진청 등이 협력한 스마트팜연구개발산업단을 발족한 만큼 관련 연구도 본격화돼 효율이 향상된 스마트팜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콘퍼런스는 전자신문사가 주최하고 농식품부, 농진청,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등이 후원했다. 코로나19 방역 차원에서 온라인 생중계 형식으로 진행됐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

▶ 네이버 홈에서 [전자신문] 구독하기
▶ 전자신문 바로가기

[Copyright ⓒ 전자신문 & 전자신문인터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AI가 세상을 지배해도 모든 것이 사람 마음먹기 나름(一切唯心造)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