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블록체인 투표시스템` 도입 주장

입력
수정2018.01.29. 오후 5:22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전자투표 결과 위변조 불가능해

전대 앞둔 간담회서 필요성 강조

대중의 신뢰 확보 등 숙제 남아

선관위 부정적… 도입은 미지수


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오른쪽 두번째)가 29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투표시스템 적용방안 간담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당이 선거투표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블록체인을 디지털 투표에 활용하면 임의조작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등 많은 긍정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당 정책위원회와 당 암호화폐특별대책단은 29일 공동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투표시스템 적용방안'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를 주관한 권은희 의원은 인사말에서 "블록체인 투표 시스템은 블록체인 기술의 무한한 가능성 중 하나"라면서 "내달 4일 당 전당대회를 앞둔 시기에 이번 간담회가 해당 기술의 도입 가능성과 활용방안을 적극 논의할 수 있는 좋은 타이밍"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의당은 최근 공인인증을 통한 전자투표 방식이 가능하도록 당헌·당규를 고쳤다. 박지원 전 대표 등 통합반대파는 이를 두고 "합당을 쉽게 하기 위한 꼼수"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역시 이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보인 만큼 이번 전대에 도입될지는 미지수다.

당 암호화폐대책단장을 맡은 오세정 의원은 축사에서 "이미 미국, 스페인, 우크라이나 등 해외에서도 블록체인을 활용한 전자투표를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중복투표 위험 등이 있고 아직 생소한 기술이어서 대중의 신뢰확보가 필수적이란 전제를 달았다.

발제를 맡은 홍승필 성신여자대학교 교수는 "기존 디지털 투표는 참여 편리성, 개표 용이, 비용 절감 등에서 효율적이지만 투표 내용의 비밀침해 가능성이 단점으로 지적돼왔다"면서 "블록체인을 디지털 투표에 활용하면 임의 조작 방지가 가능해져 익명을 유지하면서도 추적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블록체인 방식을 활용한 온라인 선거 시스템은 △휴대전화나 '카드키'를 이용한 유권자 본인 인증 △투표 △투표결과 암호화로 저장 서버에 전송 △개표와 결과 확인으로 진행된다. 투표 후 특정시간 이후 발표되는 결과를 기다리지 않아도 돼 시간이 절약될 뿐 아니라 투표와 개표 관리비용, 선거관리비, 감시와 단속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고 홍 교수는 설명했다. 또 현재의 직접투표와 달리 블록체인 활용 시 시공간의 제약이 줄어 구성원 대다수가 참여 가능하고, 투표내역을 보관하지 않는 P2P(개인간) 방식으로 투표 결과가 공개돼 보안성과 신뢰성이 확보된다.

한편 이 자리에는 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를 비롯해 같은 당 이용호·채이배 의원 등이 참석했다.

문혜원기자 hmoon3@dt.co.kr

디지털타임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 SNS 바로가기
디지털타임스 영문뉴스 바로가기 / 카드뉴스 바로가기

문혜원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
댓글

디지털타임스 댓글 정책에 따라 디지털타임스에서 제공하는 정치섹션 기사의 본문 하단에는 댓글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