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에서 마스크 품귀 현상이 지속되자 일본 정부가 연일 대책을 쏟아내고 있다.
지난 10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3개 부처 40명 규모의 마스크 대응 전담팀(마스크팀)을 발족했다. 후생노동성, 경제산업성, 총무성에서 차출된 인원으로 구성된 팀이다. 정부 부처가 협력해 의료·간호기관이 안정적으로 마스크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적이다. 마스크팀의 주도하에 각 기관은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매입·보유한 마스크를 배부받는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유관 부처가 협력하여 마스크 확보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가 마스크 수급을 안정화하기 위해 움직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일본 정부는 앞서 마스크를 고액으로 재판매해 차익을 얻는 전매 행위를 금지하는 ‘국민생활안정긴급조치법’ 개정안을 의결한 바 있다. 11일에는 국가가 보유한 마스크 640만장 중 250만장을 민간에 방출한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정부가 마스크 수급에 이렇게 민감하게 대응하는 것은 도를 넘는 품귀 현상 때문이다. 코로나19 확진자가 1200명을 넘어선 현시점에서는 일선 의료진조차 마스크를 구할 수 없을 정도로 난항을 겪고 있다. 현직 간호사 A씨는 “하루에 한 장씩 마스크를 바꿔쓰는 것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열악한 곳은 한 장으로 일주일을 버티는 곳도 있다”고 토로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본 내 마스크 가격은 연일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1월 초까지만 해도 1박스(60개)에 1000엔(약 1만1000원) 수준이던 마스크는 2월 말에 4만2000엔(약 48만원)까지 값이 올랐다. 정부는 앞서 발표한 전매금지법을 앞세워 가격 안정화에도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정부의 갖은 노력에도 일부 정치인들은 마스크를 사적인 용도로 유용하는 등 이기적인 행태를 보여 비판을 받고 있다. 지난 9일에는 현역 지방의원이 마스크 판매로 폭리를 취해 1억여원을 챙긴 사실이 드러나 기자회견을 열고 사과했다. 타카하시 미나(39) 일본 아오모리현 시의원은 본인이 경영하는 편의점에 납품된 마스크 재고를 빼돌렸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
▶ 네이버에서 국민일보를 구독하세요(클릭)
▶ 국민일보 홈페이지 바로가기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