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 부진 이유, 주택투자 감소때문이다"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스포츠서울 김윤경 기자] 주택 투자 감소가 경제성장 부진의 가장 큰 문제라는 분석이 나왔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연구실장은 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된 ‘위기의 주택산업, 새로운 도약을 위한 대응 전략 모색’ 세미나에서 경제가 어려운 원인이 주택 투자가 적어서라고 말했다.

김 실장은 “올해 상반기 주택투자는 46조5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3% 감소하면서 GDP(국내총생산) 성장기여율 -39.6%, GDP 성장 기여도 -0.74%포인트로 경제성장에 마이너스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경제성장 부진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주택투자”라며 “경제가 회복되려면 급격히 위축되고 있는 주택투자의 견조한 회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정부의 주택규제 강화가 지속하면서 주택투자는 감소세다. 2017년 109조3000억원에 이르던 주택투자는 지난해 106조8000억원으로 2조5000억원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주택투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3% 떨어지면서 16조4천억원의 생산 유발효과가 감소하고 약 7만8천명의 일자리가 줄어든 것으로 추산됐다.

또 2020년에 주택투자가 올해 상반기 수준으로 약 12%(11조2천억원) 감소하면 생산 유발효과 28조2000억원, 취업자 약 13만5000명이 감소하면서 2%대의 경제 성장률 유지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다.

김 실장은 “주택투자는 다른 산업의 생산유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산업”이라며 “주택투자가 위축되면 연관 산업 위축으로 이어지면서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최근에 성장한 국내 주택기업은 주로 원가우위 전략을 통해 성장해왔으나 향후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기업 규모를 고려해 집중화, 차별화 전략을 통한 성장모델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socool@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