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현

成俔

두산백과

비슷한 글12
보내기 폰트 크기 설정

요약 조선 전기 문신. 대사간, 형조참판, 평안도관찰사, 예조판서, 공조판서 겸 대제학 등을 지냈다. 《악학궤범》을 편찬했고 관상감 등의 중요성을 역설, 격상시켰다. 문집 《용재총화》는 조선 전기의 정치 ·사회 ·제도 ·문화를 살피는 데 중요한 자료다.

출생-사망 1439 ~ 1504
본관 창녕
경숙
용재·허백당
시호 문대
활동분야 정치, 문학
주요저서 《허백당집》, 《풍아록》
시대 조선전기(세종~광해군)

본관 창녕(昌寧). 자 경숙(磬叔). 호 용재(慵  齋)·허백당(虛白堂). 시호 문대(文戴). 1462년(세조 8) 식년문과(式年文科)에, 1466년 발영시(拔英試)에 급제, 박사(博士)로 등용되었다. 이어 사록(司錄) 등을 거쳐 1468년(예종 즉위) 예문관(藝文館) 수찬(修撰)을 지냈다.

형 임(任)을 따라 명(明)나라에 가는 도중 기행시를 지어 《관광록(觀光錄)》을 엮었다. 1475년 다시 한명회(韓明澮)를 따라 명나라에 다녀와서 1476년 문과중시(文科重試)에 급제, 대사간 등을 지냈다. 1485년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때 천추사(千秋使)로 명나라에 다녀와 형조참판 등을 거쳐, 1488년 평안도관찰사를 지내고 이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때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와 경상도관찰사로 나갔다가 예조판서에 올랐다.

이해 유자광(柳子光) 등과 《악학궤범(樂學軌範)》을 편찬했으며 관상감(觀象監) 등의 중요성을 역설, 격상시켰다. 연산군이 즉위하자 공조판서로 대제학(大提學)을 겸임했다. 죽은 지 수개월 후 갑자사화(甲子士禍)가 일어나 부관참시(剖棺斬屍)당했다. 왕명에 따라 유자광 등과 《쌍화점(雙花店)》 등 고려가사(高麗歌詞)를 바로잡았으며 글씨를 잘 썼다. 문집 《용재총화(慵 齋叢話)》는 조선 전기의 정치 ·사회 ·제도 ·문화를 살피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뒤에 신원(伸寃)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다. 《허백당집(虛白堂集)》 《풍아록(風雅錄)》 《부휴자담론(浮休子談論)》 《주의패설(奏議稗說)》 《태평통재(太平通載)》 등 많은 저서가 있다.

출처

출처 도움말
확장영역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