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수도권 집단감염 ‘3차 파도’로 이어져선 안돼
우선 확진자들 동선을 중심으로 검역과 역학조사를 철저히 해 방역에 주력해야 한다. 특히 콜센터 직원들이 주로 버스와 지하철 등으로 출퇴근해온 만큼 대중교통을 통한 감염 관리도 필수적이다. 또 확진자가 대거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한 만반의 준비도 해야 한다. 병상과 의료 인력 및 장비 등에 대한 철저한 대비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심각한 위기 상황에 처해질 수도 있다. 중증 환자를 위한 병상 확보는 물론 경증 환자 집단 격리 치료를 위한 생활치료센터, 음압병상을 비롯한 의료장비 등 미리 하나하나 꼼꼼히 챙겨야 한다. 서울시를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 간 충분한 정보 교류와 협력은 물론 주요 병·의원들 상호간 협업 치료를 위한 대응책도 마련해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대한병원협회가 보건복지부와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 의료서비스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생활치료센터 인력 지원 조율과 교육을 담당토록 한 것은 다행이다. 그동안은 개별 의료기관이 자체적으로 의료인력을 파견해와 혼선이 빚어지곤 했다.
아울러 노래방과 PC방, 클럽, 스포츠센터, 학원 등 콜센터처럼 비말을 통한 집단 감염 가능성이 높은 사업장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 정부 소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사업 유형별 감염관리 지침을 마련해 ‘고위험 사업장 공통 감염관리 가이드라인’을 배포한다고 밝혔는데 하루가 급한 상황이다. 지침을 통해 밀집사업장에 재택·유연·온라인 활용 근무 를 권고하고, 출퇴근·점심시간 조정, 사무실 좌석 간격 조정 등 근무 환경의 밀집도를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또 종사자·이용자 관리를 강화해 유증상자 출근 중단·업무배제, 종사자·방문자 관리 등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한다.
다중이용시설 사업장에 영업 중단을 권고한 박원순 서울시장의 말처럼 이번 콜센터 집단 감염 발생은 광범위한 지역 감염으로 이어지는 ‘3차 파도’의 시작일 수 있다. 절대 긴장을 늦춰선 안 된다.
▶ 네이버에서 국민일보를 구독하세요(클릭)
▶ 국민일보 홈페이지 바로가기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3
국민일보 헤드라인
더보기
국민일보 랭킹 뉴스
오전 7시~8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