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일자리의 보고’ 펫 산업 발전의 걸림돌

입력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동물 학대의 본질은 산업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인성에 기인하고 있다. 선진국에서 보듯이 반려동물 산업 발전과 동물복지는 정비례하여 가고 있다. 반려동물 산업은 펫숍, 동물병원, 애견 미용실, 애견 호텔, 애견 훈련소, 애견 유치원. 펫카페, 장례업, 반려동물 약품업, 반려동물 의료기기업 등 적지 않은 연관 산업에서 적지 않은 사람들이 종사하고 있다. 특히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산업 중의 하나로 양질의 일자리를 30만개 이상 창출할 수 있는 분야이다. 사진은 지난 8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반려동물 박람회 ‘펫서울2019 & 카하엑스포’의 ‘떡국누나’ 부스. 홍윤기 인턴기자


우리나라의 반려동물 산업은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본격화됐다. 사료와 용품의 보급으로 시작된 이 산업은 30여년이 지난 지금은 종사자만 10만명이 될 정도로 성장했다.

농림부 자료에 따르면 2018년을 기준으로 반려동물 보유 가구 비율은 약 511만가구로 추정되며 양육 두수는 총 약 635만마리다. 애견 507만마리, 고양이 128만마리로 집계된다. 반려동물 보유가구 비율은 전체 가구의 23.7%에 이른다.

이는 미국의 69%, 영국의 68% 일본의 66%에 비해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니 앞으로도 발전 가능성이 적지 않은 산업이다. 그런데 서글프게도 계속 성장을 하던 우리의 펫 산업이 수년 전부터 정체기를 맞더니 급기야 2017년 28.1%의 가구당 보급률이 2018년에 23.7%로 4.4% 감소했다.

이런 이면에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다고 한다. 첫째, 일부 과격한 동물보호 단체의 과도한 행동이다. 2, 3년 전부터 일부 동물보호 단체는 동물을 자연상태에서 키워야하는 대상으로 보고 반려동물 산업을 부정하고 죄악시하기도 한다.

둘째, 정부는 동물복지 정책을 위해 산업을 과도하게 제약하고 있다. 산업을 성장시키기보다는 규제에만 치우쳐 산업의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 예를 들면 모든 동물 소유자에 대한 의무 교육 검토, 소유자에 대한 면허제 도입 검토, 가정에서 자견을 분양 시 연 15만원 이상의 수익이면 동물 판매업 등록 검토, 동물 등록세 강화 검토, 애견 농장의 1인 관리 두수를 50마리 이하로 강화 검토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규정은 세계 어디에도 없는 규정이다.

동물 학대의 본질은 산업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인성에 기인하고 있다. 선진국에서 보듯이 반려동물 산업 발전과 동물복지는 정비례하여 가고 있다. 반려동물 산업은 펫숍, 동물병원, 애견 미용실, 애견 호텔, 애견 훈련소, 애견 유치원. 펫카페, 장례업, 반려동물 약품업, 반려동물 의료기기업 등 적지 않은 연관 산업에서 적지 않은 사람들이 종사하고 있다. 특히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산업 중의 하나로 양질의 일자리를 30만개 이상 창출할 수 있는 분야이다.

우려스러운 것은 일부 대기업의 직영 전문점들이 펫숍까지 진출하여 영세업자들의 폐업이 속출하고 있다. 거대 온라인 쇼핑몰도 문제이다. 이들은 도매 가격 이하, 심지어 납품 가격 이하로 제품을 판매하고 있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들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이 때문에 향후 동물개체수의 급격한 감소를 초래하여 반려동물 산업이 향후 사양 산업으로 전락할 수 있다.

대기업은 훌륭한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각종 국산 펫 사료와 용품 등을 개발하는데 주력해야 한다. 소매유통은 기존의 펫숍들에 맡기는 것이 진정한 상생이다.

펫 산업을 별도의 산업으로 분리하여 정부의 체계적 지원과 육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금은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국 동물복지팀에서 동물복지 위주의 정책을 관장하고 있다. 하지만 산업적 측면에서 중소벤처기업부 소관으로 넘기고 명칭도 ‘반려동물 산업과’로 바꾸면 어떨까. 이곳에서 연관 산업을 이끌고 국가 경제의 한 축을 조성하여 양질의 일자리도 창출하고 관련산업도 적극 지원, 육성해 주면 좋겠다.

이기재 한국펫산업소매협회장



[한국일보 페이스북 친구맺기] [한국일보 홈 바로가기]
네이버 채널에서 한국일보를 구독하세요!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