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국가책임제’ 첫발…치매센터 전국 확대

입력
수정2017.06.06. 오전 7:35
기사원문
송명희 기자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새 정부의 핵심 공약인 '치매 국가 책임제'를 실현하기 위해 정부가 2천억 원의 예산을 추가로 편성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수도권에만 몰려있는 치매 지원센터를 전국 시군구에 확대 설치해 국가 치매 관리의 기반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송명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르신들이 함께 모여 노래를 하고, 악기를 연주합니다.

옆방에서는 기억을 더듬으며 숫자를 맞춰갑니다.

치매 징후가 있는 어르신들의 뇌를 자극해 치매 진행을 막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치매 지원센터에 등록된 어르신만 4천 4백여 명, 치매 고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해 예방하고, 제때 치료받을 수 있도록 추적 관리를 해주는 게 주업무입니다.

<인터뷰> 안00(치매 의심 환자 보호자/음성변조) : "나라에서 하는 거니까 경제적으로도 부담이 덜 한 것 같고, 체계적으로 한다고 하면 가족 입장에서도 편하죠."

현재 이렇게 운영되는 치매 지원센터는 47곳.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데, 올 12월에는 전국 252곳으로 대폭 늘어납니다.

센터 한 곳당 25명을 고용해, 여기서만 5천여 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집니다.

또 공립요양병원 45곳에는 치매 전문병동이 들어섭니다.

이를 위해 편성된 예산은 모두 2천 23억 원, 국가가 치매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핵심 기반이 마련되는 겁니다.

현재 65세 이상 국내 치매 환자는 72만 5천 명.

고령화로 인해 2030년엔 치매 환자가 백만 명을 넘어설 전망입니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치매 국가책임제'의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해 발표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송명희기자 (thimble@kbs.co.kr)

▶ [저작권자ⓒ KBS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