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빵-빚투 말라" 금감원 ‘동학 개미’에 경고

입력
수정2020.04.07. 오전 10:39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개인 투자자, 코로나 사태 후 가파른 순매수세
금감원 "주가 떨어졌다는 이유만으로 주식 사면 안 돼"

/일러스트=박상훈


금융감독원이 코로나 사태 이후 ‘저점 매수’를 꿈꾸며 새로 시장에 진입한 개인 투자자들에게 경고장을 날렸다. 최근 코로나 사태로 인해 외국인, 기관 투자자들은 매도 행진을 벌이는 가운데 ‘개미’들은 꾸준히 순매수 행진을 벌여 ‘동학개미운동’이라는 신조어까지 나왔다.

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최근 코로나 사태 확산으로 국내외 주가 지수가 요동치고 있다. 시장 변동성을 측정하는 VKOSPI 지수는 지난 1월 말 19.3에서 지난달 말 48.6으로 크게 증가했다.

이런 가운데 개미 투자자들은 주식 순매수에 꾸준히 나서고 있다. 올해 들어서만 25조원 어치를 사들였다. 특히 코로나 사태가 본격화된 이후 자금을 붓는 규모가 커지고 있다. 지난 1월에만 해도 개인 순매수액은 6조3000억원이었는데, 3월에는 12조7000억원으로 불어났다.

/금융감독원

개인 투자자들이 이처럼 순매수 행진을 벌이는 까닭은 과거 금융위기 이후 주가가 급반등한 사례가 반복될 것이라고 내다보기 때문이다. 현 상황을 저가 매수 기회로 생각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금감원은 “이번 코로나19로 촉발된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는 과거 금융위기와는 다른 양상”이라면서 “향후 주식시장에 대한 예측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개인투자자, 특히 경험이 많지 않은 신규 투자자들은 현명하고 신중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했다.

금감원은 우선 높은 기대 수익률에는 높은 위험이 따른다는 걸 명심하라고 했다. 과거의 높은 수익률이 미래의 수익을 보장하는 건 아니라는 걸 명심하고 투자를 결정하라는 것이다.

또 자금 용도를 잘 살펴 투자하라고 권했다. 예컨대 전세 보증금이나 학자금처럼 단기간에 필요한 자금으로 증시에 투자했다가는 꼭 필요한 곳에 돈을 못 쓸 수 있으니 주의하라는 얘기다.

‘빚투(빚으로 투자)’는 삼가하라고도 했다. 금융기관 대출 등 레버리지를 활용하여 투자하면 이자 비용이 발생하는 건 물론, 주가 하락시 반대매매 등으로 손실 규모가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소위 ‘몰빵 투자’나 ‘묻지마식 투자’는 매우 위험하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단순히 주가가 하락했다는 이유만으로 투자를 하는 건 “매우 위험하다”는 게 금감원 경고다.

[이기훈 기자 mong@chosun.com]




4·15 국회의원 선거 누가 이길까
네이버에서 조선일보 구독하기
조선일보 구독 신청하기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