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김상곤 혁신안 바이블 아냐"…친문 "연판장도 불사"

입력
수정2017.08.22. 오전 5:14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민주 '정발위·공천룰' 갈등 고조

추미애, 당 대표 전략공천권 강조
친문 "현행 당헌·당규 지켜라"


[ 김기만 기자 ]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1일 “김상곤 혁신위원장 시절인 2015년 만들어진 혁신안(현 지방선거 공천 기준)은 바이블이 아니다”며 공천 규정을 손보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에 민주당 의원들은 “연판장을 돌려서라도 추 대표의 룰 개정을 저지하겠다”고 맞서고 있다. 추 대표의 공천 룰 개정 움직임을 둘러싼 갈등이 일촉즉발의 상황으로 치닫는 모양새다.

추 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난해 총선 때도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혁신안 취지와 달리 전략 공천을 하지 않았느냐”며 지방선거 공천 룰 개정 의지를 밝혔다. 그러면서 “혁신안은 중앙당 패권을 개선하려고 만들었지만 결과적으로 중앙당 패권을 시·도당에 옮겨 놓은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추 대표의 이날 발언은 내년 지방선거에서 당대표가 전략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공천 룰을 고칠 필요가 있다는 의미다.

총선·지방선거 공천 기준을 담은 혁신안은 문재인 대통령이 당대표이던 2015년에 중앙당 집중화 폐해를 막고 지방분권 강화를 위해 당시 혁신위원장이던 김상곤 현 부총리가 마련했다. 시장·군수 등 기초단체장과 기초·광역의원을 시도당위원회에서 경선을 통해 선발하도록 해 중앙당의 개입을 최소화한 게 핵심이다.

추 대표 측 인사는 “현재 공천 룰에 따르면 당대표는 시도당위원회에서 뽑힌 후보들에 대한 아무런 권한도 갖지 못한 채 뽑힌 후보에 대한 승인 도장만 찍는 역할만 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추 대표는 정당발전위원회 출범을 중단하고 당내 조직을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미 통과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이날 발언을 통해 추 대표가 별도 조직인 정발위를 만들려는 의도를 드러낸 것이라며 비판했다. 수도권 한 재선의원은 “‘젊은 인재의 등용이 어렵다’ ‘이겼을 때 혁신해야 한다’는 등의 명분을 내세워 밀어붙이고 있는 정발위의 궁극적인 목표가 당대표의 전략공천권 확보라는 점이 명확해졌다”고 날을 세웠다.

설훈 의원 등 정발위에 반발하는 당내 인사들은 이날 “추 대표 행동에 변화가 없다면 연판장까지 돌리겠다”며 대응 수위를 높였다. 이들은 “지방선거 1년 전에 공천 규정을 확정하도록 한 현행 당헌·당규를 따라야 하며 당대표가 전략공천권을 갖기 위해 선거 룰에 다시 손대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김기만 기자 mgk@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글방]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