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일상에서 만나는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Social Economy), 한 걸음 더 알아보기!

2017사회적경제박람회님의 프로필 사진

2017.06.02. 19:381,866 읽음

사회적기업은 많이 들어봤는데, 사회적경제는 무엇잇지 낯설고 어려우신가요?
사회적기업이 익숙하다면, 사회적경제도 어렵지 않아요!  



사회적경제(Social Economy)


시장과 정부의 경제활동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이 있죠.
이런 문제를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연대하고 협력해 해결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경제 활동이 사회적경제입니다.
사회적경제는 사람 중심의 공동체로서 자본(이윤)보다는 사람을, 개별 기업˙조직의 이익보다는 사회 전체의 이익을 목적으로 합니다.
말 그대로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경제활동이라고 할 수 있어요.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공정무역을 비롯해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경제 기업들이 있습니다.
     
 
 
 

오는 71일은 사회적기업의 날인 동시에, 사회적기업 10주년을 맞이하는 날입니다! 짝짝짝!!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안정적인 일자리의 필요성과
사회서비스 수요 증가 등을 배경으로 도입 논의가 이어지다,
20077사회적기업 육성법이 시행되었습니다.
 
 
 

10년 동안 사회적기업은 고용창출, 교육, 돌봄 등 여러 분야에서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혁신을 추구하며 성장했습니다.
지금도 여러 분야에서 혁신을 추구하고 있는 사회적경제 기업들.
사회적경제 4대 부문으로 불리는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을 소개해 드릴게요!


   

사회적기업은 사회적 목적과 경제적 활동을 결합한 기업입니다.
이윤을 추구하는 일반 기업의 성격과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공익적 목적을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일자리 창출, 분배 불균형 등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도
사회적기업을 통해 해소하는 순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출처: 빅이슈코리아 홈페이지(bigissue.kr)

 
빅이슈코리아
빅이슈는 다양한 분야의 재능기부자들의 참여로 만들어지는 잡지입니다.
홈리스는 빅이슈 판매원으로 활동하고, 잡지 판매 금액의 절반을 받습니다.
홈리스에게는 경제적 자립을, 사회에는 홈리스의 가능성을, 시장(기업 및 소비자)에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한다는 소셜 미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협동조합은 공동 출자를 통해 조합원을 구성하고 
구성된 조합원들이 필요한 사업을 수행하는 사업체입니다.
소비자 협동조합, 사업자 협동조합, 직원 협동조합 등
구성원의 특성과 사업 유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출처: 한살림 홈페이지(www.hansalim.or.kr)

한살림
한 살림은 자연을 지키고 생명을 살리는 마음으로 농사를 짓고 물품을 만드는 생산자와
이들의 마음이 담긴 물품을 이해하고 믿으며 이용하는 소비자가 함께 결정한 협동조합입니다.
생명농업을 바탕으로 생산자와 소비자 간 직거래운동을 펼칩니다.


   


정부가 추진하고 주민이 참여해 지역의 문제와 과제를 해결하는 마을 단위 기업입니다.
주민이 주도적으로 지역의 각종 자원을 활용한 수익 사업을 만들고
이를 통해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등 지역 발전에 기여합니다.

 마을기업이 되려면 여러 가지 요건을 갖추어야 하는데,
가장 기본적으로는 최소 5인 이상의 지역 주민이 참여한 협동조합 형태여야 합니다.
 
 
 
 

출처: 성북신나 홈페이지(sinna.us)

협동조합 성북신나
정릉동 지역재생과 건강한 청년 일자리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획, 연구, 교육, 디자인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마을기업입니다.
지역 자원과 성북의 특성을 활용해 지역밀착형 문화 기획과 연구를 진행하고
출판이나 디자인 같은 문화 콘텐츠 제작도 함께하고 있습니다.  
 


 

자활기업은 1인 이상의 수급자 또는 저소득층이 상호 협력해
조합 또는 공동사업자 형태로 자활 사업을 운영하는 업체입니다.
사회 경제적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소득 이웃들과 함께 건강한 일자리를 만들고
그들이 스스로 살아갈 힘을 만들어 주기 위한 사업을 지원합니다.
 
 
 
 

출처: 커피큐브 홈페이지(www.coffecube.co.kr)

커피큐브
커피잔여물을 100% 재활용한 제품을 만들어 환경을 보호합니다.
아이들이 찰흙놀이처럼 커피점토를 가지고 놀며 자연스럽게 환경 보호에 대해 교육하고, 실천하도록 합니다.
또 저소득층에게 환경교육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사회적경제 기업을 만나고 싶다면!
사회적경제를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2017 사회적경제 박람회로 오세요!



<2017 사회적경제 주간기념 사회적경제 박람회> 
일시 | 2017.06.29(목) 17:00~21:00 
   2017.06.30(금)~07.01(토) 11:30~21:00 
장소 | 서울광장, 시민청
주최 | 고용노동부, 서울특별시, 2017 사회적경제 주간 공동추진위원회
주관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실행 | 일상예술창작센터
문의 | socialeconomicfair@gmail.com / 02-325-8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