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위 높이는 북미에 격동하는 한반도…완전파괴 vs 초강경대응

입력
수정2017.09.22. 오전 11:25
기사원문
문대현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지난 2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국제 사회를 향해 직접 성명을 발표 했다고 노동신문이 22일 보도했다. (노동신문) 2017.9.22/뉴스1 © News1 임준현 인턴기자

北 '초강경 대응조치' 위협에 美·日군사적 옵션 가능성↑

(서울=뉴스1) 문대현 기자 =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2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북 '완전 파괴' 경고 유엔총회 연설에 반발해 거센 발언을 내놓으며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의 긴장도가 높아지고 있다.

김정은은 이날 자신의 이름으로 성명을 내고 "트럼프가 그 무엇을 생각했든 간에 그 이상의 결과를 보게 될 것"이라며 "사상 최고의 초강경 대응조치 단행을 심중히 고려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정은이 말한 '초강경 대응조치'란 태평양상 수소탄 시험일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이날 외신에 따르면 리용호 북한 외무상은 기자들의 질문에 "내 생각으로는 사상 최대의 수소탄 지상 시험을 태평양 상에서 하는 것으로 되지 않겠는가"라고 답했다.

북한의 선전포고에 가까운 말을 들은 미국은 더욱 강경한 태도를 밀고 나갈 가능성이 높으며 지난달 29일과 지난 15일 연이어 북한의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에 자국 상공을 내준 일본 역시 유사시에 대비해 군사자산 배치 태세를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과 러시아는 한반도에서의 영향력을 잃지 않기 위해 미국의 반대편에 서 있으면서도 북한의 도발에 불편함을 내비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은 일단 김정은의 발언에 대해 반응하지 않고 지켜보고 있지만 어떤 방식으로든 강경한 입장을 취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안 채택으로 외교적으로 고립돼 있는 북한을 더욱 심하게 옥죌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1일(현지시간)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새 대북제재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북한 기업과 거래하는 외국 금융기관에 대한 제재는 물론, 북한에 다녀온 모든 선박과 비행기는 180일 동안 미국에 입항할 수 없도록 하는 조치까지 담았다. 고강도 제재에 돌입한 미국은 북한이 도발을 한 차례 더 감행할 경우 군사적 옵션을 적극 고려할 것이라는 관측마저 나온다.

남광규 매봉통일연구소장은 이날 뉴스1과 통화에서 "만약에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나 핵실험과 같은, 일종의 레드라인을 넘는 도발을 하게 된다면 미국이 군사적 옵션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미국과 궤를 같이하고 있는 일본 역시 북한의 추가 도발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핵무장론'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를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전날 유엔 총회 연설에서 "(북한에) 필요한 것은 대화가 아니라 압력"이라며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있다는 미국의 대북 강경 기조도 일관되게 지지한다"고 밝히며 대북 입장을 설명했다.

반면 북한을 두둔해 왔던 중국과 러시아로선 다소 불편한 자리에 놓이게 됐다. 이들은 북한에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지만 상황이 극으로 치닫는 지금 현실에서는 운신의 폭이 줄어들 전망이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북한에 "더 이상 위험한 길로 가지 말라"며 경고장을 날렸고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에 의한 도발 행위를 비난한다"고 지적했다.

두 나라 모두 기존의 대북 우호책을 유지할지 대북 제재에 적극적으로 협력할지 기로에 서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들은 북한을 향한 무력행사는 안 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어 미국의 군사 옵션 실행을 막는 데 힘을 쏟을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동북아 정세에서 우리 정부가 북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이 핵을 포기할 때까지 압박을 지속해야 한다면서도 '한반도 운전자'로서 대화를 통한 해결을 모색하는 '투트랙'을 유지하고 있어 향후 한반도 정세가 더욱 악화될 경우 어떤 입장을 취할지 관심이 쏠린다.

eggod6112@

▶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클릭!)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