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물가상승률 역대최저 전망···전문가들 "디플레이션 현상"

입력
수정2019.09.08. 오후 1:07
기사원문
손해용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올해 1~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 초중반에 머물면서 연간 기준으로 역대 최저기록을 세울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일부 해외 기관들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5%에도 못 미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8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8월 누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5%를 기록했다. 1965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최저치다. 1∼8월 누계 기준으로 이전까지 가장 낮은 상승률은 1999년과 2015년의 0.6%였다.
월별 물가상승률 추이.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지난달에는 역사상 처음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전년 대비 -0.04%)를 찍은데 이어, 9월이나 10월에는 또다시 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가 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국은행은 올해 8∼10월 중 적어도 한두 달은 전년 동월 대비로 마이너스 물가 상승률이 나타날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 지난해 8∼10월에 물가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난 ‘기저효과’에 더해, 올해는 농산물 가격 안정과 국제유가 하락까지 더해졌다는 이유에서다.

국내외 주요 기관들은 올해 한국의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계속 낮추고 있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국내외 36개 기관의 올해 한국 물가상승률 전망치 평균은 7월 기준 0.9%에서 8월 기준 0.8%로 0.1%포인트 낮아졌다. IHS마킷(0.4%)·데카방크(0.4%)·ING그룹(0.5%)·바클레이즈(0.5%)·DBS그룹(0.5%)·캐피털 이코노믹스(0.5%),·피치(0.5%) 등 0%대 초중반을 점쳤다.

국제금융센터가 해외 투자은행(IB) 9곳을 조사한 결과도 비슷하다. 씨티와 JP모건이 0.5%로 하향 조정해 바클레이스까지 총 3곳이 0.5%를 전망했다. UBS도 0.6%로 내렸다.

정부는 올해 평균 물가상승률을 지난해 말에는 1.6%로 잡았다가, 지난 7월 0.9%로 하향 조정했으나, 이마저 실현이 어려워진 분위기다. 그러나 정부는 저물가 상황이 수요 측 요인보다 농·축·수산물, 유가 등 공급 측 요인에서 상당 부분 기인한 만큼 디플레이션 국면으로 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경기 부진에 따라 시장 내 수요가 위축된 구조적 결과에 따른 것으로 사실상 디플레이션에 가깝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정책 요인이나 채소·석유류 가격 하락만으로는 장기간 이어지는 저물가를 설명하기 힘들다”며 “경기 부진 하에서 물가하락이 이어지고 있는 현 상황은 디플레이션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재정과 통화정책 대응은 물론, 기업 비용이 증가하는 점을 해결해야 하는 등 포괄적으로 경기에 대해 대응을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이날 발간한 '9월 경제동향'에서 수요 위축에 공급 측 기저효과가 더해지며 0%까지 하락했다"고 진단했다. 수요 측 요인을 언급지 않고 있는 정부와 대비되는 모습이다.

미·중 무역분쟁과 일본의 수출규제 등 대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마이너스 물가가 ‘뉴노멀’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미·중 무역분쟁으로 한국 상품 수출액이 1% 감소할 때 민간 소비는 0.15% 줄고, 소비자 물가는 0.06%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상품 수출액이 3% 감소하는 시나리오에서는 민간소비는 0.45% 감소하고, 소비자물가도 0.17% 하락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고령화도 물가를 끌어내리는 요인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017년 발표한 조사보고서에서 한국의 고령화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 분석한 결과, 고령화는 2022년까지 한국 물가상승률을 0.3%포인트 끌어내리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국제유가 급락 등의 요인이 있다면 연말에도 마이너스 물가가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 “경제성장률 수준이 많이 떨어져 물가상승 수준도 낮아지면서, 앞으로 마이너스 물가는 종종 나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세종=손해용 기자 sohn.yong@joongang.co.kr


네이버 메인에서 중앙일보를 받아보세요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