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1년 이상 방치된 빈집 2940세대 재생 본격화"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서울 주택 0.1% 수준인 2940세대…매입 후 청년주택 등으로 개선

재개발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지 10년 만인 2015년 정비구역에서 해제된 서울 성북구 성북4구역 모습. [매경DB]
서울시가 지난해 11월부터 서울 전 지역에 대한 빈집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1년 이상 방치된(2018년 3월 기준) 빈집이 2940세대(무허가 건축물 357세대 포함)로 파악됐다. 서울시 총 주택의 0.1% 수준이다.

서울시는 빈집 실태조사 완료로 추진 대상 사업지가 구체화됨에 따라 '빈집 활용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본격화한다고 17일 밝혔다. 2022년까지 빈집 1000세대를 매입해 임대주택(청년·신혼부부) 4000세대를 공급하고, 커뮤니티시설·주민편의시설 등을 조성하는 등 낙후된 저층주거지의 주거환경 개선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는 장기간 방치로 도시미관 저해, 범죄 장소화, 화재·붕괴 우려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빈집을 매입해 신축·리모델링 후 청년·신혼부부주택이나 주민커뮤니티 시설로 활용하는 서울시 도시재생사업이다. 저층 주거환경 개선과 지역경제 활력 증진을 목표로 추진 중이며 이번 빈집실태조사는 그 일환으로 시행됐다.

이번 실태조사는 서울시가 한국감정원에 위탁해 지난해 11월부터 이뤄졌다. '빈집 및 소규모 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 전기·상수도 단수 정보, 무허가주택, 경찰서·소방서 등이 범죄와 화재 예방을 위해 관리 중인 공폐가 주택 등 1만8836세대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했다. 확인된 2940세대는 추정치 대비 16% 수준이다.

빈집은 단독주택(다가구 포함)이 78%(2293세대)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철거 등이 필요한 노후 불량주택(3~4등급)은 54%에 해당하는 1577세대였다. 자치구별로는 용산구(348세대), 종로구(318세대), 성북구(184세대), 강북구(180세대) 등의 순으로 많았다.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빈집실태조사가 완료됨에 따라 빈집 활용 도시재생 사업이 더욱 탄력을 받게 됐다"며 "빈집을 활용해 주거 취약계층의 주거난 해소와 다양한 주민참여공간 확보, 공유경제 실현으로 인한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저층주거지에 새로운 변화와 활력을 불러일으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네이버 메인에서 '매일경제'를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매콤달콤' 구독 ▶무궁무진한 프리미엄 읽을거리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