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만 알면 당신도 ‘모빌리티 전문가’?!
헷갈리고 난해한 모빌리티 용어를
쉽고 재미있게 정리해드립니다.
하루 5분 투자로 누구나
모빌리티 고수가 되는 시간.
신비한 모빌리티 용어 사전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주고받는 C-ITS
뉴스에 종종 등장하지만
아직은 낯선 교통용어,
차세대 지능교통체계로 불리는 C-ITS입니다.
C-ITS는 운전자에게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첨단 도로교통 시스템입니다.
이미 우리는 실시간 교통정보나
하이패스, 버스 도착정보 등
지능형교통체계(ITS)를 이용하고 있는데요.
C-ITS는 일방적인 정보 전달을 넘어서
양방향 교통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이 다르답니다.
C-ITS,
어떻게 사고를 예방할까?
이번에는 C-ITS가 어떻게
일하는지 살펴볼까요?
도로에서 자동차끼리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사고 관련 정보는 C-ITS에 연결된 차량을 통해
주변의 모든 자동차와
도로 인프라로 전해집니다.
실시간으로 정보를 취득한 자동차들은
운전자에게 급감속,
차량 접근 알림, 추돌 경고 등
사고로 인한 위험 정보를 전달합니다.
기지국 등 도로 인프라 역시
사고 정보를 취득하고
경로 우회나 차선 변경을 안내합니다.
기존의 ITS는 도로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검지기로
교통정보를 수집해 전달하는 만큼
사고나 정체 상황을 파악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는데요.
C-ITS가 구축되면 V2X 기술을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교통 안전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율주행차에도
꼭 필요한 C-ITS
정부와 여러 지자체가 C-ITS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자율주행과 직결되는
대표적인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자율주행차는 라이다와 카메라 등 센서로
주변 교통상황에 실시간으로 대응하는데요.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의 악천후 상황이나
200m 이상 원거리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자율주행차와 C-ITS가 만나면
차량이 실시간 교통정보를
반영해 자율주행하며
더욱 안전한 ‘이동의 자유’를
확보하게 될 것입니다.
2022년, C-ITS 본격 시동
C-ITS는 2022 디지털 뉴딜 이슈
중 하나입니다.
전국 주요 도로에 2022년
C-ITS 구축이 예정되어 있고
울산 등 지역에서는 실증사업도 진행됩니다.
사실 C-ITS가 ‘꽃길’만 걸어온 것은 아닙니다.
‘와이파이 계열 VS LTE 계열’ 중
통신방식 선정에 혼선이 있었죠.
정부는 두 기술 모두의 시범사업을 위해
새로운 주파수 배치안을 확정했습니다.
이용 효율, 국제 동향, 안전성 등을 검토해
2024년경 최종 방식을 결정할 계획입니다.
가까운 미래에 전국에서
만나게 될 C-ITS 기술.
우리 도로가 얼마나 빠르고 안전해질지
관심을 갖고 지켜봐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C-ITS 홍보관
SKTel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