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가구 단지에 전세 `0`…이런 아파트가 수도권에 64곳

입력
수정2020.09.17. 오후 8:16
기사원문
박윤예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임대차3법 시행된 7월말 이후
수도권 전세매물 가뭄 극심
물량 0건 단지 두달새 8배로

서울 전세가격은 64주째 상승
"가을이사철 벌써 두렵다"


서울 전셋값이 1년이 넘는 64주 연속으로 상승한 가운데 수도권에 전세 물건이 단 한 개도 없이 '0'인 아파트 단지가 64개로 집계됐다. 두 달 전 임대차법이 시행되기 전 8개였던 점과 비교하면 8배 늘어난 것이다. 이 같은 추세는 서울·수도권에서 나아가 전국적으로 확산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17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서울에서 총 1000가구 이상인 261개 단지를 전수조사한 결과(9월 14일 기준), 9개 단지가 전세로 나온 물건이 0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은 116개 단지 가운데 14개, 경기는 457개 단지 가운데 41개 단지가 전세 물건이 0개였다. 총 1000가구 이상 대단지임에도 전세 물건이 0개인 것은 예전 같으면 매우 드문 일이다. 전세 물건이 5개 이하인 서울 아파트 역시 122개에 달한다.

전세 물건이 이처럼 씨가 마른 것은 연이은 정부 규제가 직접적인 원인으로 분석된다. 지난 7월 말부터 최장 4년의 계약 기간이 보장되는 임대차법이 제대로 된 준비 없이 서둘러 시행된 데다 양도세 비과세 요건과 재건축 조합원 요건 등을 채우기 위해 실거주하는 집주인이 대거 늘어났기 때문이다. 결국 정부의 졸속 규제로 인한 피해는 약자들 몫이다. 신혼부부나 재계약을 못한 임차인 등은 새 전셋집을 구하는 게 '하늘의 별 따기'가 돼 전전긍긍하고 있다.

실제 두 달 전 임대차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이 통과되기 전과 비교하더라도 전세 가뭄이 최근 들어 심화됐다. 지난달 말부터 정부가 허위 매물을 단속하면서 전세 허위·중복 매물이 없어진 것이 한몫했다. 역설적으로 허위 매물 규제로 현 전세난의 실태가 적나라하게 드러난 셈이다.

전세 매물 실종은 수도권 내에서 골고루 나타났다. 동대문구 3개, 양천구 2개, 송파·광진·강동·금천구에서 1개 단지가 나왔다. 총 5540가구에 달하는 송파구 '올림픽선수기자촌'도 전세 매물 실종 단지에 이름을 올렸다. 인근 중개업소 관계자는 "전세뿐 아니라 반전세 물건도 찾아보기 힘들다"면서 "한 번 계약이 이뤄지면 4년간 임대료를 올리지 못하기 때문에 집주인들이 눈치 를 보며 매물을 내놓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과 경기도 마찬가지다. 인천 서·미추홀·부평구 등 5개 자치구에 걸쳐 전세 매물 실종 단지가 나왔다. 경기는 시 15곳에 분포됐는데 성남 5개, 오산·화성 4개, 광명·고양·안양 3개 단지가 전세 매물이 제로였다.

전세 가뭄 속에서 전셋값은 오를 수밖에 없다. 입지가 좋은 지역에선 집주인이 '부르는 게 값'이기 때문이다. 한국감정원이 17일 발표한 '9월 2주(1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09% 상승했다. 상승폭은 일주일 전과 같았고, 상승세는 64주 연속 이어졌다. 인천은 0.12%, 경기는 0.21%를 기록했다.

이 같은 불안정한 전세 시장은 수도권을 넘어 전국적인 현상이 될 조짐이다. 임대차법은 전국 시도별로 조례를 통해 임대료 상한선을 5% 이내 범위에서 정하라고 명시돼 있다. 9월 2주 한국감정원의 전국 시도별 전셋값 변동률을 살펴보면 제주도를 제외하고 전국이 상승세다.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에서 전세 매물이 0개인 아파트는 138개로 집계됐다. 아실에 따르면 비수도권 총 1000가구 이상 649개 단지를 전수조사한 결과(9월 14일 기준), 138개 단지가 전세 매물이 0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대구 32개, 광주 16개, 부산 10개, 울산 8개, 대전 7개 단지가 전세 매물이 제로였다. 전문가들은 전셋값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가을 이사철까지 겹치면 전세난이 심화될 수 있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올가을에는 전세 물건 부족으로 인해 작년 가을철에 전셋값이 1.29% 오른 것보다 더 가파른 상승세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박윤예 기자]

▶ 팬데믹위기 해법 찾는다! - 제21회 세계지식포럼
▶ 궁금한 제조과정 영상으로 보세요. '이렇게 만들죠'
▶ 데일리 뉴스 브리핑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매일경제신문 증권부의 재무팀, 서학개미팀장을 맡고 있습니다. 열심히 공부해서 여러분께 나눠드리겠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