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기

李炯基

한국문학

비슷한 글4
보내기 폰트 크기 설정

요약 이형기의 초기시가 존재의 허무를 내면화시켜 그에 대한 자의식적 반응을 억제하였고, 후기에는 존재의 허무를 표면화시킴으로써 그에 대한 자의식의 반응을 날카롭게 돌출시킨다.

이형기
출생 - 사망 1933. 1. 6. ~ 2005. 2. 2.
출생지 국내 경상남도 진주
데뷔 1950. 문예에 「비오는 날」로 등단

1933년 1월 6일 경남 진주 출생. 동국대 불교학과를 졸업했다. 『연합신문』, 『동양통신』, 『서울신문』 기자 및 『대한일보』 문화부장 등을 역임하고 동국대 국문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한국문학가협회상(1956), 문교부 문예상(1966), 한국시인협회상(1978), 부산시문화상(1983), 대한민국문학상(1990) 등을 수상했다. 1950년 고교 재학 시절 『문예』에 「비오는 날」 등이 추천되어 문단에 등단한 이래 1955년 이상로김관식 등과 함께 공동시집 『해 넘어 가기 전의 기도』를 간행하였다. 시집 『적막강산』(1963), 『돌베개의 시』(1971), 『풍선심장』(1981), 『알시몬의 배』(1995), 『절벽』(1998), 『존재하지 않는 나무』(2000) 등과 평론집 『감성의 논리』(1978), 『한국문학의 반성』(1980) 등을 발간하였다.

그의 시 세계는 3기로 구분된다. 시집 『적막강산』으로 대표되는 제1기는 생의 근원적 고독과 세계의 공허를 일찍부터 깨달은 한 인간의 정신세계를 펼쳐 보이는 시기이다. 이 시기 시들의 저변에는 생의 허무가 짙게 깔려 있다. 그 생의 허무에 대해 단순히 한스러워하거나 분노하지 않고, 보다 담담하게 대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세속적 계산과 이해를 떠나 존재의 무상한 물결에 그대로 몸을 싣고, 유유자적하게 삶을 유영하는 초탈의 면모가 돋보인다. 제2기는 이전 시의 투명하고 절제된 서정에서 벗어난 보다 격렬한 탐미성을 드러내 보인 1970년대 이후의 시기이다.

초기시가 존재의 허무를 내면화시켜 그에 대한 자의식적 반응을 억제하였던 것에 반해, 이 시기에 들어서면 존재의 허무를 표면화시킴으로써 그에 대한 자의식의 반응을 날카롭게 돌출시킨다. 즉, 제1기의 시 세계가 음울하기는 하나 담백한 수채화의 형상을 갖고 있다면, 이 시기의 시는 원색적이고 야수적인 성격을 띤다. 파괴본능과 광기, 살해충동 따위의 모티브가 자주 쓰인다. 그러한 소재들을 통해 시인이 드러내고자 하는 것은 인간의 본질적인 허무를 표상하는 죽음 앞에서 한 자의식 강한 인간이 펼쳐 보이는 절망적인 저항의 몸짓, 혹은 강한 생명력이 부정적으로 연소되는 모습이다.

죽음에 의해 그 한계가 명백해진 인간적 삶을 가장 극단적인 방식으로 표출하는 것이 제2기의 주된 특징이다. 따라서 생명의 연소력을 가장 악마적이고도 과격한 형태로 보여주는 탐미적인 성격을 띤다. 이렇듯 분열되고 기괴한 모습의 의식은 1990년대로 접어들면서 다시 한차례 변모를 겪으며 안정을 되찾는다. 그 안정은 대체로 세계의 허망함을 한 발자국 비켜선 자리에서 관찰하는 심적 여유에서 비롯된다. 이 시기의 시인의 언어는 충격과 폭력의 방식에만 사로잡혀 있지 않고, 세계의 공포를 다소 냉정하게 바라보며 그를 담담하게 수용하는 차분함을 띤다.

더 알아보기

확장영역 접기
학력사항
동국대학교 - 불교학 학사
경력사항
연합신문기자
동양통신기자
서울신문기자
대한일보 문화부장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 교수
수상내역
1956년 한국문학가협회상
1966년 문교부 문예상
1978년 한국시인협회상
1983년 부산시문화상
1990년 대한민국 문학상
작품목록
만월대
숙명적 시간
인격 문학 양심
상식적 문학론
정실(情實) 비평론
문단 ‘인상’파론
우정 있는 반환
적막강산
낙화
문학의 기능에 관한 반성
김동리론
전통이란 무엇인가
김이석론
작가의 성실성
유치환론
‘춘향전’의 전형 창조
주류의 정통적 지향
전기문학의 가능성
한국대표시인론
신시 60년의 부감
주제란 무엇인가
김동인론
석류초
도전과 변모
민족문학이냐 좋은 문학이냐
획일화 시대의 문학
한국문학 속의 영웅과 범부
외래사조의 정착문제
현대문학과 성과 외설의 문제
감정과 그것에서의 이탈
돌베개의 시
춘원 비평의 재비판
새, 그 영혼의 처녀성
시 또는 복수의 비수
소설의 역사와 근대사회
놓친 고기론
유독성의 문학
과거의 정리와 미래에의 도전
은유와 언어의 창조 : 현대시와 메타포
한용운‧김소월‧이상화-이십대 서정의 결정
50년대 후반기의 시인들
꿈꾸는 한발
한 뿌리, 세 흐름
감성의 논리
한국문학의 반성
소설과 정서
시에서 시로
시의 세계성이란 무엇인가
한 꼬마의 탄기(誕基)
풍선 심장
계용묵씨의 교훈
박목월론
시와 언어
시에 있어서의 시간의 의미
그 해 6월의 뭉게구름
요동지시
그해 겨울의 눈
보물섬의 지도
이한직론
자하산 청노루
왜 문학인가
오늘 내 몫은 우수한 짐
시와 언어
오늘의 내 몫은 우수한 짐
50년대 후반기의 시
다치적(多値的) 사고의 시
내가 우리에게
이장희론
서정시의 본질과 오늘의 서정시-서정시의 회복, 그 문제성과 지향점[좌담]
시, 어떻게 쓸 것인가
‘저주받은 시인들’의 복권
아마추어리즘의 홍수 속에서
북한의 현대문학
내가 시를 쓰는 과정
시란 무엇인가
고향, 전통 그리고 조국
나의 이력서
남북 문학교류에 대한 제언
현대시와 선시
산업사회의 도전과 한국시의 응전
공초의 시와 공사상
죽지 않는 도시
알시몬의 배
절벽
존재하지 않는 나무
귀로
호수

출처

출처 도움말
확장영역 접기
  • 저자
    권영민 대학교수, 문학평론가

    1948년 충남 보령에서 태어났다. 서울대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한 후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하버드대 객원교수, 버클리에서 한국문학 초빙 교수를 역임했다. 1990년 현대문학평론상, 1992년 김환태평론상, 2006년 만해대상 학술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이외에도 서울문화예술상을 수상했다. 현재는 서울대 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한국 현대문학사』, 『우리문장강의』, 『서사양식과 담론의 근대성』, 『한국 계급문학 운동사』, 『한국 근대문학과 시대 정신』, 『월북 문인 연구』, 『한국문학 50년』, 『윤동주 연구』, 『작은 기쁨』 『문학의 이해』등이 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