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냉전 심화 속에 韓 기업들 미국 택했다

입력
수정2020.08.06. 오후 4:23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디지털타임스 김양혁 기자] 미·중 갈등이 최악으로 치닫는 가운데 올 들어 미국에 새로 법인을 세운 한국 기업들은 꾸준히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같은 기간 중국이 주춤한 것과는 대비되는 것으로, 대외적 불확실한 상황 속 미국을 택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미·중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질수록 이런 추세는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6일 한국수출입은행 등에 따르면 올 들어 3월까지 미국에 법인을 세운 국내 기업은 매달 지속해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1월 49개를 시작으로, 2월(58개)에 이어 3월에는 65개가 세워졌다. 작년 1~2월 45개, 3월에는 53개였던 점을 고려하면 미국으로 진출을 원하는 기업은 지속 증가 추세라 볼 수 있다. 코로나19 사태 초기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증가세는 더욱 고무적이다.

반면 중국에 새로 법인을 세우는 국내기업은 주춤하고 있다. 올해 1월 25개를 시작으로, 2월 10개로 반 토막 이상 났다가 3월 들어 18개로 회복했다. 작년의 경우 1월 44개였고, 2~3월 30개 이상이었던 점을 보면 중국으로의 진출이 둔화세에 접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G2'로 향하는 국내기업이 편차를 보이는 것은 두 나라가 벌이는 무역분쟁 여파가 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대외적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가운데 좀 더 기업하기 좋은 곳으로 향하겠다는 것이다. 조경엽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중국이)정치적으로 불안하고 하다 보니 나오는 기업들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로 동남아, 미국 등으로 가고 있다"며 "미국의 경우 투자 환경을 개선하며 투자 메리트가 있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미·중 무역분쟁 여파와 코로나19의 중국 책임론까지 대두되는 상황이라, 앞으로 이런 현상은 더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우리 정부가 취하고 있는 '모호성' 노선도 이제는 확고하게 한쪽으로 결단을 내려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우리 정부는 "안보와 경제 문제를 따로 접근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내부에서도 실현 가능성에는 의문이 나오는 상황이다. 미국은 사실상 반(反)중국 경제 동맹인 경제번영네트워크(EPN) 가입을 촉구하며 한국에 대한 참여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양준모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EPN은 아직 구체적인 윤곽이 나오지 않은 상태"라면서도 "이럴수록 초기에 우리가 들어가서 논의를 하는 게 나을 수 있다"고 했다. 김양혁기자 mj@dt.co.kr

미국과 중국에 신규 법인을 세운 한국기업 동향. <한국수출입은행>


디지털타임스 채널 구독 / 뉴스스탠드 구독
디지털타임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