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보상금 내년 45조 풀린다…연내 수도권에만 6조6784억원

입력
수정2019.09.11. 오전 3:31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3기 신도시 보상 내년 '사상최대'
주변 부동산시장 자극 우려도
추석 이후 연말까지 수도권에서만 7조원에 육박하는 토지보상금이 풀린다. 내년에는 사상 최대 규모인 45조원에 달하는 보상이 집행돼 부동산시장을 자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토지보상·부동산개발정보업체 지존은 다음달부터 연말까지 수도권 사업지구 11곳에서 6조6784억원의 토지보상금이 풀린다고 10일 발표했다. 사업지구 총면적은 7.23㎢로 여의도 면적(2.9㎢)의 약 2.5배에 해당한다.

연내 예정된 토지보상은 현 정부의 주거복지로드맵에 따라 지정된 수도권 공공주택지구에서 이뤄진다. 10월에는 1조1200억원 규모로 추산되는 성남 복정1, 2공공주택지구(65만5188㎡)와 남양주 진접2지구(129만2388㎡), 의왕 월암지구(52만4848㎡) 등 다섯 곳에서 보상이 시작된다. 11월에는 구리 갈매역세권 공공주택지구(79만9219㎡), 군포 대야미지구(62만2346㎡), 인천 가정2지구(26만5882㎡) 등이 예정돼 있다.

강남 인근에서는 과천 주암 기업형 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가 지구 지정 3년 반 만에 보상에 들어간다. 보상비 규모는 9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지존은 예상했다. 과천에서 대규모 토지보상금이 풀리는 것은 2015년 과천지식정보타운 이후 4년 만이다.

12월에는 시흥 거모공공주택지구(152만2674㎡)와 성남 금토공공주택지구(58만3581㎡) 토지 보상이 예정돼 있다. 입지 여건이 좋은 과천 주암과 성남 금토지구에서 풀린 보상비는 인근 유망 부동산에 재투자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예측했다.

내년에는 3기 신도시 보상이 본격화하면서 전국에서 45조원에 달하는 토지보상금이 풀린다. 종전 최고치인 2009년 34조8554억원보다 10조원가량 많다. 3기 신도시 후보지로 발표된 인천 계양,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지구 등지를 비롯해 의정부 우정, 인천 검암역세권, 안산 신길지구 등 공공주택지구에도 뭉칫돈이 풀린다.

전문가들은 대규모 보상비가 주변 부동산 가격을 자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정부는 대토보상과 리츠를 활용해 보상 자금을 흡수한다는 계획이다. 대토보상제도는 보상자에게 현금이 아니라 해당 지역의 다른 땅을 주는 것을 말한다.

신태수 지존 대표는 “강남 인근을 제외하면 대토보상을 선호하지 않아 기대만큼 보상비 흡수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며 “단기 부동자금이 1000조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보상금까지 풀리면서 부동산 가격을 자극하는 불쏘시개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



네이버에서 한국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한경닷컴 바로가기모바일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