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리포트]5G 장비 살펴보겠다는 정부…화웨이 딜레마 풀리나

입력
수정2018.07.18. 오전 3:42
기사원문
김세관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임지수 기자, 김세관 기자] [편집자주] 중국 화웨이 논란이 거세다. 내년 5G(5세대 이동통신) 세계 첫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이동통신업계의 '꽃놀이패'가 되면서부터다. 그러나 화웨이 논란은 이통사들의 개별협상 차원을 넘어선 지 오래다. 국가 보안 이슈로, 또 5G 생태계 조성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화웨이 논란의 쟁점들을 파헤쳐봤다.

[['대륙의 늑대' 화웨이 딜레마]①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 "5G 장비 철저한 보안점검 필요"]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황창규 KT 회장,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매리어트 파크센터에서 열린 '과기정통부 장관-통신사 CEO 간담회'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홍봉진 기자

“어느 장비가 됐든 5G 보안 문제에 대해 정부도 살펴보겠다.”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이 이통사들이 5G 상용 서비스에 도입될 통신장비에 대해 보안점검을 철저히 해줄 것을 요청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17일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황창규 KT회장,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 등 이동통신 3사 CEO들과의 간담회를 마친 이후다. 세계 첫 5G 상용화를 앞두고 중국 화웨이 통신장비 도입의 적정성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주무부처 장관의 발언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는 이날 이통 3사 CEO들과 내년 5G 서비스를 같은 날 동시에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이통사들의 5G 서비스 스피드 구축 경쟁이 자칫 제대로된 생태계 조성 노력 없이 외산장비 도입 경쟁을 유도하는 등 시장을 왜곡시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무엇보다 5G 통신장비 시장의 ‘꽃놀이패’로 등장한 중국 화웨이를 염두에 둔 조치라는 해석도 있다. 전세계 통신 관련 업계는 현재 한국을 주목하고 있다.

시장 규모가 크진 않지만 내년 3월 세계 첫 5G 서비스를 상용화하는 만큼 선도 시장으로서의 가치가 충분하다고 본다. 지난달 정부의 5G 전용 주파수 할당이 마무리되면서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앞다퉈 통신 장비 선정에 착수한 상태. 상용화 일정을 맞추려면 오는 8월, 늦어도 9월까지는 장비 업체 선정을 마무리해야 한다. 국내 5G 장비 시장 규모는 약 20조원대로 파악된다.

가장 움직임이 빠른 기업이 중국 화웨이다. 화웨이는 지난달 말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상하이’에서 대규모 5G 시연에 나서고 연구시설을 한국 언론에 공개하는 등 기술력을 과시했다. 특히 글로벌 장비 업체 대비 30% 가량 저렴한 가격에 기술 사용 특허 비용을 대폭 낮추겠다며 공격적인 영업전략을 펼치고 있다.

국내 이통사들도 진지하게 화웨이 장비 도입을 검토 중이다. 지난 2013년 화웨이의 LTE(롱텀에볼루션) 장비를 도입했던 LG유플러스가 가장 유력하다. 전임 대표이사였던 권영수 부회장은 “이변이 없는 화웨이를 이용할 것 같다”고 말했다. SK텔레콤과 KT 역시 화웨이 장비 도입을 검토 중이다. 글로벌 장비 업체들 대비 앞선 기술력, 통신비 인하 등 압박 속에 비용 절감의 필요성 등을 감안하면 화웨이 장비 도입을 고려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미국 등 일부 서방 진영에서 제기돼왔던 화웨이 장비의 ‘백도어(해킹프로그램)’ 설치 논란과 관련해 국내에서도 보안 논란이 거세다. 유영민 장관은 “5G 망은 4차산업혁명의 근간 기술이고, 국가 기반 인프라가 될 것이기 때문에 보안은 너무나 중요한 이슈”라면서 “화웨이 장비뿐만 아니라 에릭슨, 노키아, 삼성전자 등 어느 장비가 됐든 보안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렇다고 현재의 ‘화웨이’ 논란을 단순히 제품의 보안이슈로 치부해선 곤란하다. 화웨이가 5G 통신 장비시장을 선점할 경우 세계 첫 상용화에 따른 실익이 중국에 그대로 넘기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유 장관은 이날 이통 3사 CEO들에게 “가급적이면 이통3사 누가 5G 서비스를 먼저 하느냐에 대한 경쟁은 지양해달라”고 당부한 이유이기도 하다. 단순히 서비스를 일찍 시작하는 것보다 단말기, 통신장비, 콘텐츠 등 국내 5G 생태계가 함께 조성돼야 한다는 점을 에둘러 표현한 것으로 해석된다.

▶더 많은 머니투데이 기사보기
▶실시간 급상승 기사 ▶'MT리포트'가 새로 발행되었습니다

임지수 기자 ljs@mt.co.kr, 김세관 기자 sone@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